[오늘의 눈] 잔소리하지 말라/장형우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잔소리하지 말라/장형우 사회부 기자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04-07 17:58
업데이트 2015-04-08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형우 경제정책부 기자
장형우 경제정책부 기자
아들이 ‘중2’다. 설마설마했는데 진짜 무섭다. 반말에 고성은 기본이다. 방문에는 ‘들어오지 마시오’가 붙어 있다. 굵은 글씨에 반항기가 가득하다. 매일 아침, 들어가면 안 되는 그 방에 들어가 학교 가라고 잠을 깨운다. 그러면 들어오지 말라고 했는데 왜 들어왔냐며 짜증을 낸다. 그런데 조금 있다가는 왜 늦게 깨웠냐고 또 짜증을 낸다. 늦을 때 늦더라도 ‘까치집’을 짓고 학교에 갈 순 없다. 지각 위기 상황에서도 휘파람을 불며 머리카락을 말린다.

보고 있으면 속이 터진다. 하지만 이럴 때 “빨리 하라”고 잔소리해서는 안 된다. 잔소리를 하는 순간 싸움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사실 헤어드라이어를 이리저리 움직이는 아들은 이미 지각하지 않기 위해 어디서부터 뛰어야 할지 계산을 마친 상태다. 매일 아침 같은 상황이 반복된다. 어머니에게 “두들겨 팰 수도 없고, 답답하다”고 털어놨다. 그러자 “너는 더했다”는 답이 돌아왔다.

최근 미국 피츠버그의대와 UC버클리, 하버드대의 공동 연구팀이 14세의 청소년 32명에게 어머니의 잔소리를 녹음한 음성을 30초 정도 들려주고 뇌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시행했다. 자녀들이 잔소리를 듣고 있는 동안 부정적인 감정을 처리하는 대뇌변연계의 활성도는 증가했고, 감정을 조절하는 전두엽과 상대의 관점을 이해하는 두정엽과 측두엽 접합부의 활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잔소리를 듣게 된 자녀들의 뇌가 사회적 인식 처리를 중단하고 있는 것으로, 당초 의도와 달리 잔소리가 뇌를 멈추게 한다는 뜻이다.

모든 국민은 학생이었거나, 학생이거나, 학생이 된다. 대부분은 학부모가 되고, 학부모였다. 그래서 모든 국민은 나름의 교육철학을 가지고 제각각의 이상적 대학 입시제도를 그려 보곤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상적인 대입제도는 있을 수 없다. 그런 게 있었다면 아마 전 세계 모든 나라가 똑같은 대입제도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고교 내신과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전형), 대학별고사(논술 전형), 대학수학능력시험(정시) 등으로 구성된 현재의 입시체제 역시 이상적 대입제도를 향한 고민이 담겨 있다. 하지만 어떻게든 대학을 가야 하는 고3 수험생 입장에서는 내신성적도 좋아야 하고, 비교과 활동도 열심히 해야 하며, 논술 준비도 하면서 수능 공부도 해야 한다.

그런데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대학의 학생 선발 자율권 확대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교육부, 입시업체, 대학 등은 큰 변화가 없다는 것부터 학생부 및 특기자 전형, 대학별고사 강화 등 제각각의 해석을 내놨다. 학부모와 학생, 일선 고교 교사들은 ‘또 뭐가 바뀌는 건가’라며 불안해한다. 불안의 원인은 대통령 발언의 구체적 근거와 전후 맥락이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구체적 논의가 불가능한, 우리 사회의 이성을 멈추게 한 잔소리였다.

현행 대입제도가 도입된 지 10년도 되지 않았다. 제도 안착의 과도기다. 그리고 무언가를 바꾸려면 ‘3년 예고제’를 고려해야 한다. 그런데 대통령 임기는 3년이 남지 않았다.

zangzak@seoul.co.k
2015-04-08 3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