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의 세상 유람] 꽃보다 아름답던 사람이 지옥이 된 사회

[심리학의 세상 유람] 꽃보다 아름답던 사람이 지옥이 된 사회

조현석 기자
조현석 기자
입력 2019-10-29 15:16
업데이트 2019-10-29 15: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고선규 고려대학교 KU마음건강연구소
고선규 고려대학교 KU마음건강연구소
‘타인은 지옥이다’라는 드라마가 얼마 전 종영했다. 대중들에게 꽤 인기를 모았던 웹툰을 드라마화 것으로 이 제목은 사르트르의 희곡 닫힌 방에 나오는 구절이다. 원래 사르트르가 희곡에서 전달하고자 했던 것은 인간은 타인을 항상 의식해 완전히 주체적일 수 없게 되므로, 타인의 존재 자체가 지옥이라는 의미였다. 그러나 이 말은 희곡의 맥락을 벗어나 ‘헬조선’을 살아내는 우리에게 평범한 일상의 관계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선사하는 지옥이라고 읽히기 쉽다.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고 노래했던 시절이 있었다. 밤이 깊을수록 말없이 서로를 쓰다듬으며 부둥켜안은 채 느긋하게 정들어간다는 대목에서 가슴 뭉클함을 느꼈던 그 때로부터 타인이 지옥이 되어가는 사회로 오는 동안 많은 생명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스러져갔다.

한국은 다시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자살률 최고 국가로 환원하였고 최근의 또 하나의 비극적 사건은 자살 예방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바쁘게 돌아가게 한다. 그렇다면 자살을 예측하여 예방할 수는 있는 것일까? 안타깝게도 지난 50년간의 자살 관련 연구 365개에서 사용된 자살 관련 위험 요인 3428개의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 어떤 요인도 우연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예측력을 보이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아무리 높다고 하더라도 통계적으로 정확히 예측하기엔 자살은 그 발생률 자체가 낮고 개별의 자살에 이르는 경로는 개인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 자살할 것인가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예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므로 자살 예방은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한 보편적 개입에서부터 자살 고위험군 및 취약계층의 자살위험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선택적 개입, 현재 자살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위기개입 및 치료를 제공하는 개별적 개입에 이르는 여러 수준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학제적인 전문성과 이를 통합할 수 있는 협력적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교과서적으로 그렇다.

통계청에서 자살률이 발표될 때마다 많은 사람들이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특단의 종합대책이다. 특단이란 지금까지와는 다른 좀 더 특별한 대책을 내놓으라는 얘기이나 정부는 이미 꽤 괜찮은 자살예방종합대책을 가지고 있다. 다만 각 대책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예산편성이 되어 있지 않아 실제적인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얼마 전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8년 자살률은 2011년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가 다시 반등한 결과를 보였고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설명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자살은 제도적, 개인적, 사회적 원인의 복합적인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원인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지극히 원론적인 설명과 작년 한 해 온 국민의 관심이 몰렸던 특정 유명인의 자살 이후 자살률이 급등하였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그러나 여러 자료 중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2013년 이후 5년 만에 실시된 2018년 자살에 대한 국민태도 조사의 결과이다. 2013년과 비교해 볼 때 우리 국민들은 고통받는 상황에서 자신이나 타인의 자살을 용인하는 태도와 자살을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는 인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보도 권고 지침에 의해 자살이나 자살을 의미하는 단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대신 사망, 숨지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도록 권고한 이후 우리는 기사에서 많은 사람들의 극단적 선택이라는 표현을 보게 된다. ‘극단적’이라는 뜻은 길이나 일의 진행이 끝까지 미쳐 더 나아갈 데가 없음을 일컫는다. 누군가가 자신의 상황이 극단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는 탈출구를 보지 못하게 만드는 정신건강 문제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저 사람답게 살아내는 것 자체가 어려워 극단적 선택을 하도록 내몰리고 있는 이들이 분명히 있고, 그들의 선택을 수긍하고 이해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 지금 우리의 현실이다. 막다른 길에 서서 이제 끝이라고 외칠 때 나를 도와줄 수 있는 누군가가 있는 세상, 극단적 선택을 고려하는 사람들에게 그 선택을 이해하기보다 한 번 더 용기를 내어 함께 내일을 살아보자고 말할 수 있는 사람들이 필요한 때다.

삶이 버거워졌을 때 어떤 사람들은 주변의 도움 등 다양한 자원들로 위기를 넘길 수도 있겠지만 계층 사다리 밑바닥에 있거나 심리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의지할 곳은 결국 그들 주변의 마찬가지로 어려운 사람들일 가능성이 높다. 이들에게 사람은 꽃이나 도움의 손길이 아닌 그저 서로에게 지옥일 뿐인 그런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한국 사람들의 심리적 부검 결과들을 살펴보면 우리 사회의 음지를 속속들이 볼 수 있다. 국민 모두가 잘 살고 누구도 배제되거나 차별받지 않는 포용국가에서 국민의 삶을 생애주기에 걸쳐 책임지겠다고 한 정부였다. 그늘진 삶들에 햇볕이 들게 해주고, 지옥 밖에 없어 보이는 이들에게도 내일을 살 용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사람들이 다가갈 수 있게 하자. 더 이상 숙제를 미루지 말자.

고선규 고려대학교 KU마음건강연구소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