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헌재소장 새로 임명하는 게 맞는 방향이다

[사설] 헌재소장 새로 임명하는 게 맞는 방향이다

입력 2017-10-10 23:12
수정 2017-10-11 00: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재인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김이수 소장대행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고 한다. 김 대행의 헌법재판관 임기가 끝나는 내년 9월까지 사실상 그로 하여금 헌법재판소장의 직능과 권한을 행사토록 하겠다는 얘기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문 대통령의 이 같은 방침은 온당치 못하다. 헌법의 취지와 정신에도 배치된다.

김 대행은 지난달 국회 본회의 표결에서 임명이 거부된 인물이다. 야당이 다른 정치적 목적으로 딴죽을 건 것이든, 여당 원내대표가 표결 전 정지 작업을 제대로 못 한 것이든 그런 정치적 배경 여부를 떠나 헌법 절차상 국회로부터 임명이 거부된 인사다. 헌재소장의 권한과 직무를 1년 남짓 장기간 행사할 수 있는 인물이 아닌 것이다. 그럼에도 김 대행을 사실상의 헌재소장으로 계속 두겠다는 것은 대통령 스스로 헌법을 훼손하고 국회를 무시하는 처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청와대는 대행 체제 유지 방침 배경으로 ‘헌법재판관들의 뜻’을 언급했다. 지난달 18일 재판관 7명 전원이 김 재판관의 소장 대행직 계속 수행에 동의했다는 것이다. 배경 설명으로는 군색하다. 헌법재판소장 자리가 무슨 학급 반장을 뽑는 인기투표라도 된다는 말인가. 그 어떤 기관보다 헌법 질서를 우선해야 할 헌법 재판관들이거늘 대체 무슨 헌법적 근거로 ‘동의’ 여부를 운운하는지부터가 어불성설이다. 게다가 한 달 가까이 지난 지금에 와서 청와대가 느닷없이 이들의 뜻을 존중하겠다고 하는 것도 사리에 맞지 않다. 차라리 적합한 후임 인사를 찾지 못했다고 고백하는 것이 그나마 솔직한 자세일 것이다.

정치를 매사 법으로 재단해서도 안 될 일이나 정치가 법 위에 군림해도 안 될 일이다. ‘대행 체제 유지’라는 것은 그 어떤 법규에도 없는 편법이자 인사권 남용으로, 헌법을 정치 아래에 두는 행위가 아닐 수 없다. 헌재소장 후보 임명 동의가 국회에서 부결됐다면 마땅히 후속 인사를 발굴하고 지명해 국회에 재차 동의를 요청하는 것이 헌법이 제78조 등을 통해 부여한 대통령의 책무다.

여야 각 당에도 당부한다. 헌재소장 임기와 헌법재판관 임기가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를 조속히 해소해야 한다. 현행 헌법에는 헌법재판관 임기만 6년으로 규정돼 있을 뿐 헌재소장 임기는 따로 규정된 바 없어 작금의 혼선에 빌미를 제공하고 있는 만큼 헌법재판소법 개정을 통해서라도 이를 즉각 정리해야 한다.
2017-10-1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