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담임보다 학원강사 선물 챙기는 스승의날

[사설] 담임보다 학원강사 선물 챙기는 스승의날

입력 2012-05-15 00:00
수정 2012-05-15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0, 40대가 스승의날 선물로 담임선생님보다 학원강사를 더 챙긴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공교육보다 사교육에 매달리는 요즘 세태를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 스승의날에는 아예 학교를 쉬는 등 선물규제책이 있다는 현실을 감안하더라도 실추된 공교육의 위상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학부모 치맛바람이 사교육에도 부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

서울시내 한 유명백화점이 30, 40대 고객 59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스승의날 가장 선물을 하고 싶은 대상으로 40%가 학원강사를 꼽아 교사를 제치고 가장 많았다. 교사는 절반이 조금 넘는 23%에 그쳤다. 백화점 측은 사교육 열풍과 스승의날 선물 규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지만 후자보다는 전자의 요인이 더 클 것이다. 30, 40대는 자녀들이 고등학교, 대학교 등 상급학교 진학을 위해 사교육 수요가 많은 시기다. 아이가 특목고 준비 등으로 학원강사와 밀착해 공부하다 보니 신경이 더 쓰인다는 학부모의 말에서 학원강사에 눈길을 돌리지 않을 수 없는 심리를 엿볼 수 있다. 이 조사에서 선물 대상으로 어린이집 교사가 12%를 차지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러니 해마다 교원들의 사기가 떨어지는 것도 당연하다. 한국교총이 어제 발표한 2012년 교원인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81%가 교직 만족도 및 사기가 떨어졌다고 말해 2009년에 비해 무려 25.7% 포인트나 하락했다.

그러나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입시 위주 교육의 병폐, 공교육 붕괴에만 책임을 돌려서는 안 될 것이다. 교사들은 학원 등 사교육 현장의 경쟁자들에 비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였는지도 자문해봐야 한다. 하다못해 사립교원들이 공립교원들보다 더 열성을 갖고 학생들을 가르친다는 조사결과도 있지 않은가. 공교육 교사들도 스승으로서의 열정, 애정, 헌신의 덕목을 더욱 가다듬어야 할 것이다.

2012-05-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