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유로존 무더기 신용강등 후폭풍 대비해야

[사설] 유로존 무더기 신용강등 후폭풍 대비해야

입력 2012-01-16 00:00
업데이트 2012-01-16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지난 주말 프랑스와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로존 9개국의 신용등급을 무더기로 강등하면서 연초부터 세계 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독일과 함께 유럽연합의 맹주로 군림해 온 프랑스의 국가신용등급이 ‘AAA’(트리플 A)에서 ‘AA+’로 떨어진 것은 충격적이다. 재정위기로 위축된 글로벌 금융시장에 적잖은 파장을 몰고 올 것임을 예고한다.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나라도 유럽발 폭풍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이번 사태는 예상돼 왔던 일이라 생각보다 충격이 덜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지난해 8월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때 전 세계 주가가 폭락한 것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실제로 유럽과 미국 증시는 큰 동요가 없었다. 문제는 유럽 재정위기가 언제 어디로 튈지 모를 정도로 휘발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3월 만기 유로존 국채물량은 그리스와 이탈리아, 스페인 등을 포함해 1889억 유로(약 290조원)나 된다. 그리스는 144억 유로의 국채 만기가 돌아오는 3월 말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 때문에 유로존 국채 만기 연장 어려움→유럽 경기침체 심화→글로벌 위기 확산→한국경제 타격이라는 경로를 밟으며 올 1분기에 위기가 최고조에 달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유로존의 불안으로 유럽계 은행의 자금이 이탈하면 금융시장이 타격을 입고 실물경제로 전이될 건 뻔한 이치다.

이미 위기의 징후는 감지되고 있다. 한국은행과 경제단체 등은 우리나라의 1분기 성장률이 0% 또는 마이너스 성장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말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내년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더욱 암울할 것”이라고 예고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따라서 정부는 유로존 신용등급 강등의 후폭풍에 적극 대비해야 한다. 우리 경제는 글로벌 위기 말고 가계부채, 물가 폭등, 고용 불안 등 내부 악재에도 노출돼 있다.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표심을 잡으려는 정치권의 포퓰리즘 공약이 쏟아지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그제 장·차관 워크숍에서 “장·차관들이 자리를 걸고 정책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듯이 장·차관들이 중심을 잡고 위기에 맞서야 한다.

2012-01-16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