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재범 주필
논어 등에 따르면 지도자는 하늘인 백성, 즉 국민이 바라는 바를 따라야 한다. 과연 국민은 무엇을 바랄까. 간략하게 정리하면 네 가지라고 한다. 목숨이 위태롭지 않게 오래 사는 수(壽), 호주머니가 넉넉한 유(裕), 몸과 맘이 편한 강녕(康寧) 등이다. 잠깐 시선을 현재로 돌려 보면 한국인의 삶을 규정하는 조건은 크게 세 가지이다. 남북 분단에 따른 무장대치, 소규모의 자원빈국으로서 개방형 수출경제 구조, 세대·빈부·이념·지역 등 부와 자원의 배분을 둘러싼 다양한 갈등이라 할 수 있다. 목숨과 호주머니 사정, 옆집 살림과의 비교에서 생기는 불편함 등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수유강녕의 뜻과 크게 다르지 않다. 지도자는 이런 요구를 해결하면서, 국민을 독려해 한국을 세계 속에 자리잡게 하는 이율배반적 난제를 동시에 풀어나가야 한다.
자신을 뒤로한 채 나와 모두를 위해 열심히 일할 일꾼을 짧은 시간에 어떻게 감별할 수 있을까. 열길 물 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을 모른다는 속담대로 사람은 겪어보지 않는 한 결코 알 수 없다. 겉으로 드러난 태도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 다시 고전으로 돌아가면 공자의 제자 자공은 온량공검양(溫良恭儉讓) 다섯 가지를 제시했다. 따뜻하며, 솔직하고 선량하면서, 태도가 공손하고, 말에 쓸데없는 수식이나 자기자랑 없이 검소하며, 좋은 것이라도 사양할 줄 아는 사람을 꼽았다. 한마디로 보통보다 약간 나은 수준이되 전반적으로 어리숙해 보이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일을 할 때 속임수나 잘난 체 없이 매사를 쉬운 방법으로 곧게 하는 인간형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피해야 할 사람은 말을 현란하게 잘하고 상황에 따라 낯빛을 쉽게 달리하는 사람이다. 즉, 주인인 국민을 속이지 않고 주인의 이익을 가로채지 않을 사람은 너무 똑똑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웃집 삼촌처럼 부탁도 쉽게 할 수 있고, 의지하고 싶으며, 대하기 편해 괜히 정이 가는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중시할 대목은 거짓이나 술수와 거리가 멀어야 한다는 점이다. 대학은 명명덕 신민 지어지선(明明德 新民 止於至善)이라고 했다. 인간마다 갖고 태어난 밝은 빛을 더 밝힐 수 있는 지도자여야 사람을 새롭게 바꿔나갈 수 있으며, 그때 사람들은 비로소 ‘나도 그렇게 살아야지.’ 하고 마음먹게 된다는 얘기다. 뒤집어 보면 거짓과 술수에 능하면 국민의 마음을 새롭게 할 수 없으며, 이는 지도자로서 제격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공자 이후 1000년 만에 나타난 거유 정자는 이를 한마디로 압축했다. 뽑아 쓸 사람과 내버릴 사람을 고를 때 옳음을 따르라는 거조득의(擧錯得義)이다. 노나라 왕 애공이 아랫사람인 계강자의 국정농단을 개탄하자 공자는 애공의 정실인사가 원인임을 지적하며 이 말을 했다. 정실인사라고 다 나쁜 것은 아니지만 아무래도 굽은 사람을 곧은 사람 위에 올려놓게 된다. 이런 탓에 정실인사는 대개 국가와 사회의 건강성을 해친다. 선거는 국민이 내리는 인사 명령이라는 점에서 국민 스스로 옳음의 원칙에 따라 표를 던지는 게 절실하다. 인사권자 스스로 바람에 휩쓸리거나 눈앞의 이익에 매몰돼 정실인사를 단행해 놓고서 애공처럼 후회해 본들 별무 소용이다. 솔직한 사람, 술수 없는 사람, 따뜻한 사람, 자기자랑 없는 사람, 사양하는 사람을 뽑는다면 최선은 아니라도 차선은 될 성싶다. 갖은 영악한 방법으로 혹세무민하는 정치 기술자들이 판 치는 세태 속에서 유권자들은 인사권자로서 자신만의 인사 원칙을 한번쯤 정리해 놓을 필요가 있다.
jaebum@seoul.co.kr
2012-02-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