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대통령의 흑역사, 되풀이돼선 안 된다”… 이석연의 ‘직언’

“전직 대통령의 흑역사, 되풀이돼선 안 된다”… 이석연의 ‘직언’

박성원 기자
박성원 기자
입력 2025-11-27 00:26
수정 2025-11-27 00: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李대통령 포용의 리더십 강조

이석연 국민통합위원장은 지난 24일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대통령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기 위한 ‘직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포용의 리더십을 통해 전직 대통령들의 흑역사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 대통령에게 조언하고픈 말이 있다면.

“지금까지는 대통령이 잘하고 있는데, 휘둘리지 말아 달라는 말을 하고 싶다. 에이브러햄 링컨은 대통령이 되자 “내 입장은 180도 달라졌다. 나는 이제 적들에게 둘러싸여 있다”고 했다. 여기서 적들은 자리를 탐하는 측근들이다. 나더러 직언, 쓴소리를 잘한다는데 현직에 있을 때, 또 정권이 출범해서 힘이 있을 때 해야 직언이다. 전직 대통령의 흑역사가 더이상 되풀이돼선 안 되기 때문이다.”

-불행했던 전직 대통령의 흑역사 말인가.

“중국 고사에서 ‘욕가지죄, 하환무사’(欲加之罪, 何患無辭·죄를 덧씌우려는데 어찌 구실이 없겠는가)라고 했다. 중국 문화혁명 때도 얼마나 많은 사람이 다쳤느냐. 그래서 (악순환을) 끊자는 거다. 두 번이나 전직 대통령을 끌어내린 국민들이다. 힘있는 사람이 먼저 포용의 리더십으로 같이 갈 수 있는 동화력이 필요하다.”

-이 대통령도 같은 생각일 거라고 확신하나.



“이제 곧 취임 6개월이고, 계엄 후 1년이다. 이 대통령은 정치 보복의 희생자였던 데다 우여곡절 끝에 당선됐다. 대통령을 위해 말씀드리는 것을 대통령도 알고 계시고, 나와 같은 생각이라고 믿는다. 내편 네편 가르고 이러는 건 역대 정부가 똑같은데, 적어도 국민통합위에서는 안 통한다. 나처럼 보수로 분류되면서도 일관되게 계엄의 불법성을 얘기하고 탄핵심판에서 전원일치로 파면 선고가 나올 것을 말한 사람은 없다. 이번 인터뷰로 파장이 일어서 설사 낙향하게 된다 해도 개의치 않겠다. 내 소신에 입각해서 통합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이제는 나만의 시간을 가지면서 하고 싶은 일을 하고픈 생각도 있다. 그래서 떳떳하다. 합리적 중도 보수까지 껴안고 가야 하므로 나는 그런 사람들도 만나고 껴안고 가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런 자체가 통합의 한 과정이다.”
2025-11-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