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우리가 함께 살고싶은 세상/이재은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

[지방시대] 우리가 함께 살고싶은 세상/이재은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

입력 2013-10-08 00:00
업데이트 2013-10-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간을 인간 본연의 존재로 만들어주는 것은 무엇일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앞만 보고 달려가는 행위는 인간 이외의 다른 동물들에서도 볼 수 있다. 예컨대 먹이를 보고 달려가는 행위는 동물적 본능에 가까운 것이다. 인간일 수 있는 근본적 차이는 ‘움직임’ 또는 ‘활동’이 아니라 ‘생각하는 것’ 또는 ‘사색’에 있다. 마약에 취해 생각하지 못하고 이리저리 헤매는 것이 진정한 인간의 모습이라고 할 수 없는 것과 같이 삶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사색 없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신없이 뛰어가는 것 또한 인간 본연의 모습은 아니리라. 따라서 우리가 인간이기 위해서는 잠시나마 사색적 삶으로의 회귀가 절실하다.

이미지 확대
이재은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
이재은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
오늘날 사회는 자기착취의 사회라고 한다. 타인에 의한 착취는 고통스러운 것인 반면에 자기착취는 스스로 자유롭고 자율적으로 행하는 것이기에 더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자신을 착취하게 한다. 성과와 업적을 스스로 강요하도록 만드는 사회는 사회구성원으로 하여금 자신을 착취하고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을 즐기라고 말하는 사회다. 그렇게 하는 것만이 우리로 하여금 진정으로 살아 있음을 느끼게 해준다고 믿게 만드는 사회다. 혹시라도 지금 사는 세상이 그런 사회 아닐까?

우리 사회는 어디를 향해 가는가? 도무지 어디로 가는지 방향을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내가 몸담은 직장은 어디를 향해 가는 걸까 궁금하지만 누구도 알려주지 않는다. 그리고 알 수도 없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스스로 존엄한 가치를 깨닫고, 마침내는 자신을 뛰어넘어 남에게 긍정적 힘이 되어주는 것이 바람직한 미덕으로 존중받는 사회를 꿈꿔 본다. 그 순간, 너무나도 불온한 생각을 한 것은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든다. 내가 사는 사회, 함께 더불어 사는 사람들, 내가 살고 내 후손들이 살아야 할 환경 등 나 자신과 내 주변의 것들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문제 제기를 하는 것을 불순하고 불온한 것으로 보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은 자신과 관계없는 타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와 타인의 존엄성을 지켜주기 위해 희생할 수 있는 존재라는 사실로부터 나온다. 만일 누군가가 타인의 존엄성을 지켜주기는커녕 자기 이익을 위해 직장동료를 대상으로 거짓말하거나 음해하기까지 한다면 그에게서 인간의 존엄성을 찾을 수 있을까?

그럼에도 나는 사람에게서 희망을 찾는다. 우리가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누군가는 늘 사색하고 자기통제를 하기 때문에. 그들에게 삶의 목표는 자신의 성공이 아니라 모든 이의 행복이기에 더욱더 그 의미가 깊게 다가온다.

행복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찾을 수 있기에 앞으로 나아가기만 하다가는 행복을 찾기가 어렵다. 앞으로 진격만 하지 말고, 한때나마 친구, 가족, 동료를 챙기면서 사는 삶의 여유로움도 즐겨 보자. 그러고도 여유가 생기면 인간을 넘어 생명을 지키려고 헌신해 보는 계기를 가져 보자. 인간만을 위한 창조는 다른 생물체에는 파괴나 파멸을 의미할 수 있는 반면에 생명 공동체를 위한 창조는 곧 인간 자신을 위한 위기관리이기 때문이다.

2013-10-08 3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