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기업 오너를 사석에서 만났을 때 일부 중소기업을 나무라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기업 경영을 한 지 20~30년이 됐는데도 중소기업으로 머물러 있는 오너는 진정한 기업인으로 보지 않는다고 했다. 대기업들은 늘 정부나 언론 등의 감시 또는 견제의 대상이지만, 중소기업은 보호막이 많아서인지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일을 하고 다니는 이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각종 혜택을 최대한 활용해 기업을 키우려 애써야 하는데, 안주하며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지 않아서야 되겠느냐고 목청을 높였다. 선친이 운영하던 조그마한 기업을 대기업으로 일궈 낸 열정이 묻어났다.
‘피터팬 증후군’은 육체적으로는 성숙해 어른이 됐지만 어린이로 남아 보호받기를 원하는 심리를 말한다. 캥거루족도 비슷하다. 자립할 나이가 됐지만 취직을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육아 등을 위해 부모에게 얹혀 사는 이들을 일컫는다. 서울에서 부모와 자녀(35~44세)가 함께 사는 가구는 지난 2000년 25만 3244가구였다. 그런데 10년 뒤인 2010년에는 48만 4663가구로 23만여 가구나 늘었다고 한다. 다른 원인도 있겠지만 경기가 어려워진 영향이 가장 클 것이다.
정부가 엊그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중견기업 3000 플러스 프로젝트’를 내놓았다. 현재 1291개인 중견기업을 오는 2015년에는 3000개로 늘린다는 복안이다. 중견기업이란 중소기업(근로자 수 300명, 3년 평균 연매출 1500억원 미만)보다 규모가 크지만 상호출자 제한 기업집단에 속하지 않는 회사를 말한다.
정부는 중견기업이 앞으로 우리 경제의 큰 축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이 몸집이 커져 중견기업으로 바뀌더라도 일정 수준의 각종 세제 혜택 등을 줘 중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 보겠다는 야심찬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가업승계 상속세 공제 대상 범위를 매출액 1500억원에서 2000억원 이하 기업으로 확대하고, R&D 세액공제율이 3~6% 수준인 일반 기업보다 높은 8%를 적용하는 것 등이 혜택의 예다. 큰 업체와 경쟁하는 것이 두려워 더 이상 성장하지 않으려는 기업의 피터팬 증후군을 예방해 보겠다는 전략이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312만개로 전체 기업의 99.9%나 된다. 정부의 의도대로 중견기업 프로젝트가 성공하려면 중소기업의 고질적 문제인 구인난부터 해결해야 하지 않을까.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피터팬 증후군’은 육체적으로는 성숙해 어른이 됐지만 어린이로 남아 보호받기를 원하는 심리를 말한다. 캥거루족도 비슷하다. 자립할 나이가 됐지만 취직을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육아 등을 위해 부모에게 얹혀 사는 이들을 일컫는다. 서울에서 부모와 자녀(35~44세)가 함께 사는 가구는 지난 2000년 25만 3244가구였다. 그런데 10년 뒤인 2010년에는 48만 4663가구로 23만여 가구나 늘었다고 한다. 다른 원인도 있겠지만 경기가 어려워진 영향이 가장 클 것이다.
정부가 엊그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중견기업 3000 플러스 프로젝트’를 내놓았다. 현재 1291개인 중견기업을 오는 2015년에는 3000개로 늘린다는 복안이다. 중견기업이란 중소기업(근로자 수 300명, 3년 평균 연매출 1500억원 미만)보다 규모가 크지만 상호출자 제한 기업집단에 속하지 않는 회사를 말한다.
정부는 중견기업이 앞으로 우리 경제의 큰 축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이 몸집이 커져 중견기업으로 바뀌더라도 일정 수준의 각종 세제 혜택 등을 줘 중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 보겠다는 야심찬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가업승계 상속세 공제 대상 범위를 매출액 1500억원에서 2000억원 이하 기업으로 확대하고, R&D 세액공제율이 3~6% 수준인 일반 기업보다 높은 8%를 적용하는 것 등이 혜택의 예다. 큰 업체와 경쟁하는 것이 두려워 더 이상 성장하지 않으려는 기업의 피터팬 증후군을 예방해 보겠다는 전략이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312만개로 전체 기업의 99.9%나 된다. 정부의 의도대로 중견기업 프로젝트가 성공하려면 중소기업의 고질적 문제인 구인난부터 해결해야 하지 않을까.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2012-08-1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