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미 증시호조 훈풍에 2,080선 회복

코스피, 미 증시호조 훈풍에 2,080선 회복

입력 2017-02-06 09:22
수정 2017-02-06 09: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스피가 6일 미국 증시 3대 지수 호조를 보인데 힘입어 2,080선을 단숨에 회복했했다. 이날 오전 9시 10분 현재 코스피는 전날보다 8.45포인트(0.41%) 오른 2,081.61을 나타내고 있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57p(0.61%) 뛴 2,085.73으로 출발했으나 서서히 상승폭이 둔화하는 모습이다.

지난 주말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규제 완화에 금융주가 강세를 보인 데 따라 상승했다.

1월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인 것도 호재로 작용했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인 186.55포인트(0.94%) 상승한 20,071.46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장 마감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예산안 의회 제출 등 트럼프 정책의 불확실성 확대로 코스피는 박스권 상단 안착을 시험할 것”이라면서 이번 주 코스피 예상등락범위를 2,050∼2,100으로 전망했다.

김유겸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정책과 관련한 부담감에 주가 상승 탄력이 다소 약해진 상황이나 국내 기업의 실적 흐름이 양호하고 1월 수출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해 상승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은 홀로 302억원어치를 사들이며 지수를 떠받치고 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19억원, 86억억원어치를 순매도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삼성물산(-0.39%)과 POSCO(-0.75%)를 제외한 대부분 종목이 상승하고 있다.

‘대장주’ 삼성전자(0.30%)는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SK하이닉스(0.19%)와 현대차(0.73%)도 소폭이지만 이틀 연속 오름세다.

한국전력(0.48%), NAVER(0.52%), 현대모비스(0.82%)도 상승 대열에 합류했다.

업종별로는 종이·목재(-0.30%)와 의약품(-0.39%), 철강·금속(-0.33%)을 빼고는 전 업종이 오름세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0.96포인트(0.16%) 오른 610.17을 나타내고 있다.

지수는 1.58p(0.26%) 상승한 610.79로 출발한 뒤 강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장태용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지역주민 위한 범죄예방 시스템 구축 절실”

지난 9일 장태용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국민의힘, 강동제4선거구)은 4일 오전 발생한 천호동 재개발 조합 사무실 흉기난동 사건 현장을 서울자치경찰위원회 길우근 자치경찰협력과장, 강동경찰서 이상일 범죄예방대응과장 등과 함께 방문하여, 이와 같은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두 기관에 강력한 주민 보호 대책 마련과 범죄예방체계 재정비를 촉구했다. 장 위원장은 먼저 이번 사건으로 인해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희생자께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분들께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전했다. 부상당하신 모든 분들의 조속한 쾌유를 간절히 기원하고, 피해자분들께서 일상으로 복귀하실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장 위원장은 이번 사건을 “단순한 우발범죄로만 볼 것이 아니라, 갈등, 고립 등 우리 사회 곳곳에 내재된 위험요인들이 얽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치안의 유지·강화를 넘어 주민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근본적 범죄예방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자치경찰위원회와 강동경찰서에 제안했다. 장 위원장은 지역치안에서 자치경찰의 역할을 강조하며 “서울시, 국가경찰, 자치경찰, 그리고 갈등관리·정신건강 분야 전문가들이 긴밀히 협력하는 방식으로 범죄예방 체
thumbnail - 장태용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지역주민 위한 범죄예방 시스템 구축 절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