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OLED 산업경쟁력 세계 1위…수요·조달부문 취약

한국 OLED 산업경쟁력 세계 1위…수요·조달부문 취약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2-07-27 13:47
수정 2022-07-27 14: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산업연구원, 디스플레이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보고서
중국 밸류체인 전반의 경쟁력 강화로 향후 경쟁 심화 전망

한국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산업경쟁력이 세계 최고이나 수요·조달부문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산업경쟁력이 세계 최고이나 수요·조달부문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사진은 삼성전자의 QD-OLED TV. 서울신문 DB
한국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산업경쟁력이 세계 최고이나 수요·조달부문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사진은 삼성전자의 QD-OLED TV. 서울신문 DB
한국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양산 체계를 갖춘 중국이 밸류체인 전반의 경쟁력이 강화되면서 향후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이 27일 발표한 ‘디스플레이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OLED 산업 종합점수는 100점 만점에 83.4점으로 중국(73.1점)과 일본(70.7점)에 크게 앞섰다.

가치사슬별로 한국은 연구개발(R&D)·설계(85.0점)와 생산(88.3점) 부문에서 경쟁력 우위를 보였다. 반면 수요(80.8점)와 조달(75.8점) 부문이 취약했다. 수요는 중국(81.6점)에 뒤졌고, 조달은 일본(89.8점)에 크게 밀렸다.

일본은 핵심 소재·부품·장비에서 대체불가능한 품목들을 다수 보유해 조달분야에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핵심 소재로 유기발광 화소 구현을 위하여 사용되는 미세한 구멍이 있는 얇은 금속 마스크(FMM) 등의 국산화가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중국은 수요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다. 조달분야는 상대적으로 열악하지만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기반이 강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보고서는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경쟁우위를 지속화하기 위해서는 조달과 수요부문을 보완하고 강점을 가진 R&D·설계 및 생산부문의 경쟁력 지속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주문했다. 특히 조달분야 핵심기업 육성을 통한 약점 개선과 지속적인 R&D를 위한 연구 협업체계 활성화, OLED 전문인력 양성으로 산업발전 토대 구축 등을 제시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