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부터 판매까지… 식품 안전은 ‘쑥’ 탄소 배출은 ‘뚝’

조달부터 판매까지… 식품 안전은 ‘쑥’ 탄소 배출은 ‘뚝’

심현희 기자
입력 2022-04-26 20:28
수정 2022-04-27 03: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CJ제일제당

이미지 확대
CJ제일제당의 탄소중립 중장기 로드맵. CJ제일제당 제공
CJ제일제당의 탄소중립 중장기 로드맵.
CJ제일제당 제공
CJ제일제당은 ‘사업을 통해 국가와 국민에게 이바지한다’는 ‘사업보국’(事業報國)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지속가능경영을 이어 오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이사회 내 신설한 지속가능경영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지속가능경영 위원회’를 주축으로 ESG 경영을 전략적,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위원회는 최은석 대표이사와 사외이사 4인 등 총 5인으로 구성됐다.

이런 노력의 결과 CJ제일제당은 고객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식품 안전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고 원재료 조달, 연구개발, 생산, 판매에 이르기까지 전 공급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하게 관리한다.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다양한 활동도 펼치고 있다. 2020년에는 순환 자원 인증 등을 통해 전년에 비해 7.7배 개선된 총 5577t의 폐기물을 줄였고, 재활용 소재 활용, 경량화 등 패키징 기술 개발을 통해 1019t의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여 1527t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했다.

탄소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제품 개발과 솔루션 확대에도 힘쓰고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인 PHA를 활용한 제품이나 대체육, 배양육 기반의 식품, 푸드 업사이클링 등 친환경 제품 출시를 늘릴 예정이다. 이를 통해 CJ제일제당의 고객들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원재료 조달부터 제품 판매와 폐기에 이르는 전 가치사슬의 탄소 배출도 최소화한다. 투자 결정을 할 때도 잠재적 탄소비용 부담까지 고려해 타당성을 평가하는 ‘내부 탄소가격제’를 도입한다.
2022-04-2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