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지난 6월 서울 용산구 동자동과 남대문 쪽방촌 80가구에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부착한 LED 전등을 달아 주었다.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1인 가구의 고독사, 특히 소외계층의 비극을 미리 막기 위한 배려였다. IoT 센서는 장기간 사람 움직임이 없으면 동작감지 기능을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해 주는 시스템이다.
이미지 확대
올 추석 연휴에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에서 KT 직원이 동작 감지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점검하고 있다. KT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올 추석 연휴에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에서 KT 직원이 동작 감지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점검하고 있다. KT 제공
남대문 지역 상담센터 간호사 한진희(47)씨는 “연휴가 길었던 지난 추석엔 쪽방촌 주민들에 대한 걱정이 컸다”면서 “당시에도 어르신 한 분이 갑자기 쓰러져 병원에 모시고 갔다. 스마트 전등이 없었다면 조기 발견이 힘들었을 것”이라며 고마워했다.
KT는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이웃, 사회와의 상생 경영에서도 한발 앞서 나가고 있다. 앞서 2014년 10월 전남 신안군 임자도를 시작으로 ‘도서지역 독거노인 대상 실버케어’ 서비스를 시작했다.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독거노인의 응급 상황이 확인되면 자동으로 담당자에게 문자메시지가 전송된다. 그러면 담당자는 환자에게 전화를 걸어 상태를 확인하거나 비상 버튼으로 직접 통화를 하게 된다.
올 1월에는 서해 백령도, 교동도에서 고독사를 막기 위한 ‘안부 알리미’ 서비스도 시작했다.
이선주 KT 지속가능경영센터장(상무)은 “KT는 사람을 위한 혁신기술을 활용해 소외계층 안전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심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7-10-2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