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도 꺾였다… 전국 집값 6개월 만에 하락

수도권도 꺾였다… 전국 집값 6개월 만에 하락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4-01-15 23:59
수정 2024-01-15 2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월 매매가 전월 대비 0.1% 하락
대출 막히고 경기 둔화까지 겹쳐
서울 구로 주공 2년 만에 3억 빠져

이미지 확대
서울 중구 남산에서 서울시내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뉴시스
서울 중구 남산에서 서울시내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뉴시스
“거래 절벽이라는 말이 딱 맞아요. 앉아서 놀면 안 되니까 광고도 많이 하고 여기저기 전화도 돌려보는데 죽을 맛입니다.” (서울 노원구 상계동 A공인중개사업소 관계자)

고금리 장기화와 경직된 대출 규제는 물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로 인한 건설경기 침체 시그널까지 겹치면서 매매 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되자 지난해 7월 이후 상승세를 보이던 전국 집값이 6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2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 가격은 전월 대비 0.10% 하락했다. 지방(-0.07%)은 물론 수도권(-0.14%)도 하락으로 돌아섰다. 전국 집값은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 반짝 상승세를 보였지만, 연간으로 살펴보면 3.56% 내리며 2022년 4.68% 내린 데 이어 2년 연속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도 급매물 위주의 거래만 나타나며 매물 가격의 하향 조정이 이어졌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구로구(-0.26%), 노원구(-0.22%), 도봉구(-0.14%), 마포구(-0.13%), 동작구(-0.13%), 서초구(-0.13%) 등에서 하락세가 컸다.

2021~2022년 최고가 대비 30% 가까이 빠진 단지도 있다. 구로구 주공1차 아파트 전용면적 84㎡의 경우 2021년 10월 11억 550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지만, 지난달 같은 면적이 8억 2000만원에 거래되면서 30% 가까이(3억 4000만원) 하락했다. 서초구 우면동의 서초힐스 역시 전용면적 74㎡가 2021년 10월 16억 5000만원에 매매됐지만, 지난달에는 4억 9000만원(29%)이 빠진 11억 6500만원에 거래됐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호상놀이 전수관 건립’ 간담회 개최

서울특별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21일 서울시 문화유산보존과 및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관계자들과 함께 ‘바위절마을 호상놀이 전수관 건립’을 주제로 간담회를 열고, 호상놀이의 보존·계승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바위절마을 호상놀이’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된 전통 장례문화로, 쌍상여를 사용하는 독창적 장례의식이다. 단순한 장례 절차를 넘어 공동체의 슬픔을 나누고 위로하며 유대를 강화하는 중요한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 의원은 ▲전수관 건립을 위한 별도 예산 확보 필요성 ▲주민 인식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와 홍보 확대 ▲강동구·서울시의 협력 체계 구축을 강하게 요청했다. 특히 “호상놀이는 혐오시설이 아닌, 우리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알리는 소중한 유산”이라며, “여론조사의 객관성과 대표성을 확보해 전수관 건립의 당위성을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 한광모 문화유산보존과장은 이에 대해 “주민 여론조사 및 타당성 조사를 통해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서울시 전체 무형문화재 정책과 연계해 전수관 건립 여부를 검토하겠다”며 “예산 편성과 홍보 활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호상놀이 전수관 건립’ 간담회 개최

전문가들은 지난해 하반기 주택담보대출·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중단 등의 대출 규제 영향이 크다고 말한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대출을 일으켜서 매수를 해야 하는 수요자가 많이 유입되는 중저가 지역일수록 가격 조정이 컸다”며 “올해 신생아 특례대출 등이 제공되긴 하지만 예산 규모라든지 대상 가구가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특례보금자리론만큼의 파급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2024-01-1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