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운정신도시 롯데캐슬’ 하반기 특별혜택 ‘눈길’

파주 ‘운정신도시 롯데캐슬’ 하반기 특별혜택 ‘눈길’

입력 2014-09-12 00:00
수정 2014-09-12 15: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 하반기 분양 시장에 ‘미니신도시’라 불리는 1000가구 이상의 대규모 단지들이 대거 쏟아져 나올 전망이다. 1000 가구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는 각 지역의 랜드마크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고 이러한 대단지들은 주변시세를 선도한다는 장점에서 일대 분양시장 분위기를 좌우하기도 한다.

계속된 전세금 상승세에 전세 수요자들이 매매전환 움직임도 본격화 되는 시점에서 내 집 마련을 계획하는 수요자들이라면 올해 입주하는 아파트 중 대단지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는 단지들에 주목해 볼 만 하다.

특히 수도권 지역의 경우 전세금 상승과 함께 기존주택도 동반 상승 중이어서 혜택이 좋은 미분양 주택을 중심으로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실제 계약도 속속 체결되며 잔여물량 소진이 빠르게 이뤄지는 분위기다.

향후 3~4년 후에는 주택 담보대출 금리도 3%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미래가치와 경쟁력이 뛰어난 알짜물량을 중심으로 분양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파주지역에서 분양 중인 ‘운정신도시 롯데캐슬’도 최근 수요자들이 몰리며 계약몰이에 한창이다. 이 아파트는 지하 2층, 지상 18~30층 20개동에 총 1880가구의 대단지로 구성돼 있다.

단지는 전용면적 기준 △59㎡ 178가구 △84㎡ 867가구 △101㎡ 216가구 △113㎡ 471가구 △126㎡ 148가구 규모로, 특히 113㎡(구43평)을 제외하고는 모든 평형대가 마감될 만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강점은 쾌적한 주거환경이다. 아파트 바로 앞으로 약 72만㎡(22만평) 규모의 운정호수공원이 위치해 있어 공원과 호수 조망이 가능하다. 또 호수공원을 단지에서 바로 진입할 수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 호수공원을 내 집 정원처럼 이용할 수 있다.

단지 내에 4개의 테마 공원이 조성되고, 자작나무숲길, 메타세콰이어길, 단풍나무길, 억새밭길 등 1.1Km의 테마 산책로가 단지 내에 설계되는 등 풍부한 녹지 경관을 자랑한다. 이 외에도 아파트 단지 내에 어린이 실내 복합놀이공간과 부모들의 휴식공간을 결합한 ‘캐슬 맘 앤드키즈 카페’가 조성될 예정이다.



운정신도시롯데캐슬은 일산신도시와 가까워 풍부한 편의시설을 쉽게 이용 할 수 있으며, 경의선 운정역을 이용하면 지하철 2호선 홍대역까지 40분 대에 도착할 수 있다.

특히 광역급행버스(M버스)를 이용하면 서울과의 탁월한 접근성을 체감할 수 있다는 평가다. 2개의 M버스 노선이 추가로 신설되어 총3개의 광역급행버스(M버스)가 운행되고 있으며 강남역, 양재역, 여의도, 광화문, 서울역 등 서울 중심지역으로 연결된다.

단지 주변 교육시설로는 가온초, 해솔중, 지산중, 운정고, 경기영어마을 등이 있으며, 단지 뒤에는 복합커뮤니티센터인 운정행복센터가 조성돼 있다. 운정행복센터는 지하 2층~지상 8층 2만9359㎡ 규모로 공연장(584석), 수영장(25m 5레인), 동사무소, 주민자치센터, 다목적 연회장, 노인복지시설, 청소년복지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분양관계자는 “현재 선착순 분양 중이며 신도시프리미엄, 호수공원 프리미엄, 명품 브랜드 프리미엄, 대단지 프리미엄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단지”라고 전했다.



이번 미분양 혜택은 입주 시 잔금 30%를 3년간 유예 대출의 45%를 4년간 이자지원을 해주고 나머지 입주금 25%(1억 ~1억2000만원)를 내면 올해 11월에 입주를 시작, 최장 4개월 전까지 입주가 가능하다. 계약금은 2000만원이며 113㎡(구43평)기준 실입주금은 1억2000만원 선이다.

분양문의 1599-2447

뉴스팀 seoule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