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5개월만에 최고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5개월만에 최고

입력 2014-08-14 00:00
수정 2014-08-14 15: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0.05%↑…부동산 규제완화 ‘훈풍’ 일반·신도시로 번져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4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 주에 비해 0.05% 상승했다. 이는 올해 3월 둘째 주(0.06%) 이후 주간 변동률로는 가장 크게 오른 것이다.

이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 규제 완화에 따라 서울 강남권 재건축을 중심으로 시작된 상승세가 일반아파트와 신도시로까지 확산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0.14% 상승해 지난주(0.15%)와 비슷한 수준이었고 일반 아파트는 0.03% 오르며 지난주(0.01%)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강동구가 0.21%로 가장 많이 올랐고 서초(0.12%), 노원(0.10%), 강남(0.09%), 송파(0.07%), 강북(0.06%), 관악(0.06%), 도봉(0.04%), 마포(0.03%)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반면 구로(-0.08%)와 은평(-0.05%), 강서(-0.02%), 동대문(-0.02%), 성동(-0.01%)은 감소했다.

신도시 아파트값도 전 주보다 0.03% 올라 2월 넷째 주(0.04%) 이후 가장 크게 올랐다.

수도권 역시 0.03% 상승해 3월 둘째 주(0.03%)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도시는 산본(0.11%), 김포한강(0.06%), 분당(0.05%), 평촌(0.05%), 중동(0.01%) 등이 상승했고 수도권은 의왕(0.08%), 광명(0.04%), 고양(0.03%), 구리(0.03%), 수원(0.03%), 안산(0.03%), 인천(0.02%), 남양주(0.02%), 용인(0.02%) 순으로 올랐다.

전세는 싸게 나왔던 매물이 거래되면서 상승폭이 다소 커져 서울 0.08%, 신도시 0.03%, 수도권 0.0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은 송파(0.26%), 관악(0.24%), 동작(0.19%), 노원(0.18%), 은평(0.18%), 성동(0.16%)의 전셋값이 비교적 많이 올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