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를 앞둔 지난주 전체적으로 부동산 거래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부동산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 굳이 대선 전에 계약할 필요가 있느냐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의 매매가는 제자리를 지킨 가운데 수도권과 신도시의 매매가는 0.01%씩 하락했다. 전셋값은 다시 조금씩 꿈틀대기 시작했다. 서울과 신도시의 전세가는 0.01%씩 올랐고 경기도는 0.02% 상승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양천구는 신정동 및 목동 일대 하락세가 크다. 신정동 신시가지9단지 125㎡가 2500만원 내린 10억 2000만~11억원에 호가가 설정됐다. 목동 신시가지3단지 148㎡도 2000만원 떨어져 11억 4000만원에 급매가 나와 있다. 관악구는 봉천동·신림동 일대 가격이 내렸다. 봉천동 보라매삼성 122㎡는 1500만원 떨어져 3억 7500만~4억 1000만원에 매물을 찾을 수 있다. 신림동 건영3차 79㎡는 500만원 하락해 2억 6000만원에 거래가 가능하다. 과천시는 정부청사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재건축을 기다리는 중앙동 주공1단지 52㎡는 1500만원 하락해 5억 3000만원짜리 매물이 있다.
전셋값 오름세가 단기에 그칠지 내년 봄까지 갈지는 아직 미지수라는 것이 시장의 평가다. 강남구 일원동 가람 102㎡가 2000만원 오른 3억 7000만~4억 5000만원에, 상록수 102㎡도 같은 가격에 전셋값이 형성됐다.
서초구도 물건 부족으로 전세가가 강세다. 잠원동 재건축 이주에 따라 세입자들이 방배동과 사당동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잠원동 한신24차 128㎡는 4000만원 오른 5억~5억 3000만원에 물건을 구할 수 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12-1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