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다감소 대통령, 최다증가 시의원

최다감소 대통령, 최다증가 시의원

입력 2010-04-02 00:00
수정 2010-04-02 09: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 320개 기관의 고위 공직자 1천851명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사람은 지정구 인천시의회 의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 의원은 지난해 주식 평가액 상승 등으로 무려 46억4천233만원이 늘면서 재산 총액이 79억7천950만원이나 됐다.

☞고위직 공무원 재산공개 더 보기

이미지 확대
이명박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


 다음으로 나종기 대구시의원(44억4천521만원)이 신축 건물 완공에 따라 19억7천821만원,김쌍수 한국전력 사장(108억873만원)이 주식 평가액과 간접투자증권 수익 증가 등으로 인해 15억6천425만원 각각 늘어 재산 증가 2,3위에 올랐다.

 반면 작년 재산 등록 때 356억9천182만원을 신고해 행정부 공직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았던 이명박 대통령은 이후 재단법인 출연 등에 따라 307억7천829만원이 줄어들면서 감소액 순위 1위를 기록했다.

 또 나재암 서울시의원은 지난해 건물가액을 과다 신고했다가 정정하면서 재산이 줄고 건물 임대 채무는 늘어남에 따라 재산보다 부채가 22억330만원 더 많았다.

 지난해 재산 공개때 부친 재산 상속으로 81억3천470만원이 늘어 행정부내 재산증가액 1위를 기록했던 김수남 경북 예천군수는 작년 상속세 납부 등으로 22억1천794만원이 다시 줄어 재산 감소액 3위에 이름을 올렸다.

 행정부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 총액을 보면 지난해 이 대통령에 이어 2위(255억8천617만원)를 기록했던 진태구 충남 태안군수가 수위를 차지했다.

 진 군수는 작년 부동산 공시가격 하락과 자녀 결혼 비용 등으로 9억3천만원이 줄었지만 총 재산이 246억5천592만원에 달했다.

 작년 재산 총액 3~5위였던 이종학 서울시의원(182억2천435만원)과 백종헌 부산시의원(179억1천188만원),오거돈 한국해양대 총장(142억3천111만원)이 한단계씩 오르며 차례로 2~4위를 기록했다.

■<표>대통령실 재산 신고 현황

이미지 확대
행정안전부 제공 (단위 : 천원)
행정안전부 제공 (단위 : 천원)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