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LG 디지털파크’ 가보니
내구성·성능 테스트 등 1000개품질 기준 6만개 통과해야 출고
美출시 앞두고 V20 생산량 늘려

LG전자 제공
지난 19일 LG전자 경기 평택의 ‘LG 디지털파크’에서 연구원이 프리미엄 스마트폰 ‘V20’의 내구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약 1m 높이에서 낙하 시험(원)을 하고 있다.
LG전자 제공
LG전자 제공
지난 19일 LG전자 경기 평택의 ‘LG 디지털파크’ G2동 4층에 위치한 스마트폰 조립 라인에 들어서자 벽면 곳곳에 “방치하면 불량 제품, 집중하면 고객 만족”, “생산계획 100% 독하게 달성합시다” 등의 문구가 큼지막하게 쓰여 있었다. 조립라인 입구에 놓인 모니터에도 “상식 이하 검출 사례가 발견됐다”면서 생산 직원들의 경각심을 높였다. 이달 말 프리미엄 스마트폰 V20의 미국 상륙을 앞두고 최대한 고삐를 죄는 듯한 분위기였다.
월 330만대 수준의 생산 능력을 보유한 이곳에서는 프리미엄 스마트폰인 V20, G5, V10 등이 생산된다. 이 중 6개 라인에서 V20이 1시간에 400대꼴로 쉴 새 없이 만들어지고 있었다. 조립 라인을 통과한 제품은 50개씩 박스에 담겨 300개 단위로 포장실로 옮겨졌다. 김승렬 LG전자 단말제조팀 부장은 “미국에 수출하려면 최소 2주 전에는 출발해야 한다”면서 “최근 밀려들어 오는 주문에 V20 생산 라인을 1~2개 더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원음에 가까운 음질로 승부를 건 V20은 품질 테스트도 가혹할 정도로 거쳤다. 내구성, 안전, 성능, 수명에 관한 시험 등 각종 테스트 수가 1000개에 이른다. 품질 기준만 6만개에 달할 정도다. 김균흥 LG전자 MC개발품질보증실 부장은 최근 경쟁사 제품이 단종된 이후 품질 테스트를 추가로 하느냐는 질문에 “이미 엄격한 기준을 갖고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테스트는 없다”면서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G2동 3층 제품인정실에서 진행되는 품질 테스트 중에서도 내구성 테스트인 낙하 시험이 눈에 띄었다. 낙하 시험은 크게 무작위 연속 낙하 시험과 단순 낙하 시험으로 구분된다. 연속 낙하 시험은 1m 높이에서 V20을 떨어뜨려 기기 결함, 액정 깨짐, 성능 저하 등을 점검하는 테스트다. 수백번 이상 반복한다. 단순 낙하 시험은 성인의 허리 높이에서 제품을 떨어뜨린다. 전면과 측면부의 손상 여부를 살피기 위해 두 가지 방식으로 실시한다. 제품이 철판 밑에 닿을 때 2대의 카메라가 촬영해 즉시 데이터를 연구소로 보낸다. 김 부장은 “낙하 시험은 미 국방부 군사표준 규격을 통과할 정도”라면서 “이렇게 테스트를 거친 제품은 전량 폐기 처분한다”고 말했다. 일본으로 수출되는 제품에 한해 방수 시험도 별도로 진행한다.
낙하 시험 장소 옆에 위치한 수명 시험 공간에서는 조만간 출시 예정인 스마트폰, 태블릿 제품들이 무한 리셋 등의 검증 작업을 거치는 중이었다. 이 제품들이 2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24시간 내내 평소 사용률보다 5~6배 가속해 제품을 테스트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제품이 나오기까지 최소 5000시간 동안 검증 작업을 거친다”면서 “여기서 통과하지 못하면 제품 출시 자체가 안 된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10-2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