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 출시 첫날인 19일 서울 강남대로 SK텔레콤 T월드 강남점에서 제품을 구입하려는 고객들이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갤럭시노트7은 한국을 비롯해 10여개국에서 출시됐으며, 국내 출고가는 98만 8900원으로 책정됐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갤럭시노트7의 출고가는 98만 8900원이다. 그런데 삼성전자 온라인 스토어의 판매가는 108만 7000원이다.
이 10만원의 차이는 ‘유통 마진’이다.
20일 이동통신사 대리점이나 판매점에 따르면 98만 8900원에 갤럭시노트7을 공급받는다. 이통사 관계자들은 이 가격에 판매자 마진이 한 푼도 포함돼 있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삼성전자에서 물건을 납품받는 가격이 바로 출고가라는 얘기다.
대신에 대리점과 판매점은 이통사 약정을 걸고 단말기를 개통하는 대가로 이통사로부터 수수료를 챙긴다. 수수료는 단말기나 요금제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스마트폰 1대를 2년 약정으로 팔면 2만~30만원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삼성전자 스토어에서 파는 갤럭시노트7은 단말기 구매 단계에서 이통사 약정이 걸리지 않는 무(無)약정폰이다.
자연히 삼성전자 스토어는 이 무약정폰을 팔아서는 이통사 수수료를 얻을 수 없다. 그래도 스마트폰을 유통한 대가를 얻어야 하니 정상 출고가의 10%가량을 임의로 올려 받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문제는 이통사 대리점과 판매점이 갤럭시노트7을 팔 때 지급하는 공시지원금에 이통사 돈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돈도 섞여 있다는 점이다.
논리적으로 삼성전자 스토어에서 파는 무약정폰은 지원금 지급 대상이 아니므로 삼성의 지원금 부담도 없고, 삼성은 그만큼 소비자들 모르게 사실상의 마진을 추가로 남길 수 있다.
갤럭시노트7의 공시지원금은 최고 26만 4000원으로, 이 중 20%만 해도 5만원 이상이다. 다만 이통사와 제조사의 지원금 출자 비율은 극비 사항이다. 정확한 비율을 공개하는 분리공시제가 수차례 법안 발의됐으나 제조사의 반대로 계속 무산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