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68% “SNS로 고객과 소통”

국내기업 68% “SNS로 고객과 소통”

입력 2012-05-02 00:00
수정 2012-05-02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커뮤니케이션 매체 더피알 조사

국내 기업들이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고객과의 소통 강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케이션 전문매체 ‘더피알’(The PR)은 창간 2주년을 기념해 ‘2012 국내 기업 소셜미디어 도입 운영 현황 및 담당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7.5%가 ‘고객과의 소통 및 관계 개선’을 SNS 도입 목적으로 꼽았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더피알이 PR전문회사 KPR의 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와 함께 국내 기업과 기관 소셜미디어 담당자 12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6~20일 온라인 설문(일부 복수응답)으로 진행됐다.

SNS 도입 목적으로 고객 소통에 이어 기업·제품 이미지 제고(51.7%)와 제품·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강화(42.5%), 기업미디어 채널 구축(36.7%) 등이 뒤를 이었다.

가장 비중을 두는 SNS채널은 ‘페이스북’(90.8%), 트위터(77.5%), 블로그(65.8%), 유튜브(35.8%), 미투데이(19.2%) 등의 순이었다. 또한, 대다수 기업은 복수의 채널을 활용했다.

SNS 도입 성과로는 ‘소셜미디어 채널 방문자 및 이용자 증가’(80%)가 1위를, ‘기업 이미지 제고’와 ‘소비자 관계 구축 및 소통’이 각각 73.3%로 2위를 차지했다.

기업 SNS를 운영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사내 관심 및 참여 부족’(39.2%), ‘최고경영자 관심 및 마인드 부족’(15.8%) 등이 꼽혔다.

소셜미디어를 가장 잘 활용하는 최고경영자(CEO)로는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60%)이 1위로 꼽혔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정태영 현대카드 사장, 표현명 KT 개인고객부문 사장 등도 대표적인 소셜미디어 친화 CEO로 거론됐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05-0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