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물가 반영 실질 소비 0.7%↓
쿠폰 지급 영향, 실질 소득 1.5%↑
안경·화장품 등 준내구재 지출 늘어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을 통한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 영향으로 올해 3분기 물가를 고려한 가구당 실질소득이 1.3% 늘었다. 하지만 추석 연휴가 지난해와 달리 10월로 늦어진 여파로 실질 소비지출은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3개 분기째 내리막을 이어갔다.
국가데이터처가 27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43만 9000원으로 1년 전보다 3.5% 늘었다. 근로소득은 1.1%, 사업소득은 0.2% 늘었지만, 재산소득은 0.8% 줄었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도 1.5% 증가했다. 무상으로 받는 이전소득이 15.5% 늘었다. 코로나19 손실 보전금이 지급됐던 2022년 2분기 이후 13개 분기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특히 민생쿠폰이 포함되는 공적 이전소득이 37.7% 급증했다. 반면 이전소득을 제외한 나머지 소득은 감소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각각 0.8%, 1.7% 줄었다. 재산소득도 2.7% 떨어져, 13개 분기 만에 마이너스였다.
이런 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질 소비지출은 뒷걸음질 쳤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4만 4000원으로 1.3% 증가했지만, 물가 상승분을 제거한 실질 소비지출은 0.7% 줄어들었다. 3개 분기째 감소 흐름이 지속된 것이다. 소비 규모는 커졌지만, 물가 상승으로 늘어난 소비분을 빼면 실제 지출은 오히려 쪼그라들었다는 의미다.
추석 연휴가 10월로 늦어진 영향이 컸다. 소비지출을 품목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이 1.2% 줄었다. 오락·문화 지출과 단체 및 국외 여행비도 각각 6.1%, 14.1% 감소했다. 서지현 데이터처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소비지출 감소는) 오락·문화 지출이 작년 3분기에 역대 최대 수준이었던 기저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민생쿠폰 지급으로 음식·숙박 지출은 4.1% 증가했다. 서 과장은 “민생쿠폰이 가장 영향을 많이 준 분야는 외식비이며, 안경·화장품 등 준내구재 지출이 늘었다”고 말했다.
2025-11-2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