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서울 시내 시중은행에 붙어 있는 주택담보대출 상품 현수막. 2025.10.15. 연합뉴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3개월 연속 3.96%를 기록하며 3%대에 머물렀다. 반면 예금금리는 1년 만에 상승 전환했다. 시장금리가 올랐지만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낮추고 우대금리를 확대하면서 대출 금리의 추가 상승세는 제한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25년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금리(신규취급 기준)는 연 2.52%로, 전월(2.49%)보다 0.03% 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10월(3.37%) 이후 12개월 만의 반등이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 예금 금리는 2.52%로 0.04% 포인트, 금융채·CD(양도성예금증서) 등 시장형 금융상품 금리는 2.54%로 0.02% 포인트 각각 올랐다.
반면 가계대출 금리는 전월과 같은 연 4.17%를 기록했다. 주담대 금리는 연 3.96%로 7월 이후 3개월 연속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은 “은행채 금리가 상승했지만 일부 은행들이 8∼9월 가산금리를 인하하고 우대금리를 확대하면서 주담대 금리가 보합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연 3.76%로 전월 대비 0.02% 포인트 낮아지며 4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도 5.31%로 0.10% 포인트 하락해 3개월 만에 내림세를 보였다. 주담대, 전세대출, 신용대출 등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금리는 보합세를 유지했다.
가계대출의 고정금리 비중은 62.1%로 전월보다 0.1% 포인트 하락해 2개월 연속 감소세였다. 반면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91.5%로 3.0% 포인트 상승하며 4개월 만에 반등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연 3.99%로 0.04% 포인트 낮아졌다. 대기업 대출금리는 3.91%,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4.05%로 각각 0.08% 포인트, 0.01% 포인트 하락했다. 정책금융 확대 영향으로 지난 6월(4.06%) 이후 4개월째 하락세다.
정부가 이번주 추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힌 가운데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14일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의 모습. 2025.10.14 이지훈 기자
이에 따라 신규취급 기준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는 1.51% 포인트로, 전월 대비 0.06% 포인트 축소됐다. 예대금리차가 줄어든 것은 7월 이후 3개월 만이다.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2.19% 포인트로 변동이 없었다.
비은행권의 수신금리와 대출금리는 모두 하락했다. 1년 만기 정기예금 기준 수신금리는 저축은행 2.98%, 신용협동조합 2.78%, 상호금융 2.63%, 새마을금고 2.76%로 각각 0.01∼0.05% 포인트 낮아졌다. 대출금리 역시 저축은행 9.19%, 신협 4.61%, 상호금융 4.44%, 새마을금고 4.10%로 0.10∼0.20% 포인트 하락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humbnail - ‘한국인 남성과 결혼’ 日여성 “정말 추천”…‘이 모습’에 푹 빠졌다는데 [이런 日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07/SSC_20251107182512_N2.jpg.webp)
![thumbnail - “상공 60m 급강하 앞두고 안전벨트 풀려”…롤러코스터 공포의 순간 찍혔다 [포착]](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08/SSC_20251108113045_N2.jpg.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