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건설업이 절반 이상 차지

올해 7월까지 대기업 임금체불액이 지난해 체불액 총액을 뛰어넘었다.
17일 고용노동부가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종업원 수 1000명 이상 대기업의 체불액은 243억 8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총액(171억 3700만원)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2022년(72억 9900만원), 2023년(60억 7500만원)과 비교해도 크게 늘었다.
사업장 규모별로도 중견·대기업의 체불이 두드러졌다. 100~300명 미만 사업장 체불액은 올해 1~7월 기준 1522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연간치(1510억원)을 넘어섰다. 300~1000명 미만 사업장 역시 같은 기간 741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총액(877억 4700만원)를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
업종별 체불액은 제조업(3873억원)과 건설업(2703억원)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운수·창고 및 통신업(1963억원), 학원·병원 등 기타 업종(1706억원), 도소매·숙박음식업(1536억원)에서도 체불이 상당했다.
임금 체불액은 2022년 이후 줄곧 증가세다. 2022년 1조 3472억원이었던 체불액은 지난해 2조 448억원으로, 사상 처음 2조원을 돌파했다. 올해 1~7월 체불액은 1조 342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 2261억원)보다 많아, 현 추세라면 올해도 2조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체불 노동자들의 법적 대응도 늘고 있다. 2022년 14만 4435건이었던 임금 체불 진정 건수는 지난해 18만 2211건으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고소·고발 건수도 1만 840건에서 1만 2555건으로 늘었다.
2025-09-1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