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일상생활 이렇게 바뀐다
한 달 6만원 ‘대중교통 정액패스’지하철·버스 20만원까지 이용
자산 형성 돕는 청년미래적금도

지난 7월 4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2025.7.4 뉴스1
내년부터 행정안전부가 지정·고시한 ‘인구감소지역’의 중소기업에 다니는 직원은 1000원만 내면 구내식당에서 아침 식사를 할 수 있다. 초등학교 1·2학년생 중 늘봄학교에 참여하는 60만명에는 일주일에 한 번 컵에 담은 ‘과일 간식’이 제공된다. 월 최대 14만 5000원의 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대중교통 정액패스와 청년 자산 형성을 돕는 청년미래적금도 새로 생긴다.
31일 정부의 ‘2026년 예산안’에 따르면 인구감소지역 89개 시군구의 중소기업 근로자 5만 4000명에게 월 4만원의 식비를 제공하는 ‘직장인 든든한 한 끼’ 시범 사업(79억원)이 실시된다. 인구감소지역은 인천(강화군, 옹진군)과 경기(가평군, 연천군)을 제외하면 모두 비수도권 지역으로 인구 감소가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지역을 뜻한다.
‘천원의 아침밥’ 제도는 단가가 5000원이면 정부가 2000원, 지방자치단체가 1000원, 기업이 1000원을 지원하게 된다. 단가가 1만원이더라도 정부 지원액은 2000원이지만, 7000원을 기업·지자체가 부담하기 때문에 근로자가 내는 돈은 그대로다. 다만 가격대는 통상 5000원에 맞춰질 전망이다. ‘든든한 점심밥’은 4만원 한도 내에서 밥값을 20% 할인해주는 사업이다.
대중교통 정액패스는 월 5만 5000~6만 2000원을 내면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을 월 20만원까지 이용할 수 있는 교통 이용권이다.
‘청년미래적금’은 소득 6000만원 이하 19~34세 청년이 월 50만원 이내로 내면 정부가 6%(일반)·12%(중소기업 취업)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25-09-0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