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없이 33억쯤 있어야 ‘상위 1%’… 자산 81%는 ‘부동산’, 자산 증식 비법은 ‘주식’

빚 없이 33억쯤 있어야 ‘상위 1%’… 자산 81%는 ‘부동산’, 자산 증식 비법은 ‘주식’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3-03-15 16:19
수정 2023-03-15 16: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 분석
상위 1% 순자산 32.8억… 1년 새 3.8억↑
자산 81% 부동산… 여유자금은 저축·투자
연소득 2.1억… 재산소득이 평균의 17배↑

이미지 확대
5만원권
5만원권
빚을 뺀 순자산이 적어도 33억원은 있어야 ‘상위 1%’ 부자 대열에 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자산이 순자산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상위 1% 대부분 ‘집 부자’였다. 남다른 자산운용 비법은 ‘주식 등 직접투자’였고, ‘재산소득’(임대·이자·배당) 격차는 17배나 됐다. 결국 돈이 돈을 번다는 의미로, 자산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수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15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순자산 기준 상위 1% 가구의 기준선은 32억 7920만원이었다. 2021년 29억원에서 3억 7920만원 올라갔다.

순자산 상위 1%의 부채를 포함한 평균 자산은 53억 6882만원이었다. 이 가운데 부동산 자산이 43억 7249만원으로 전체 자산의 81.4%를 차지했다. 전체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 비중인 73.7%보다 7.7% 포인트 높다. 재력가 상당수가 부동산 투자로 자산을 늘렸다는 의미다.

상위 1% 가구의 금융 자산은 9억 91만원으로 16.8%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84.8%인 7억 6376만원이 저축액이었다. 부채는 평균 5억 166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미지 확대
상위 1% 평균 자산·소득 현황
상위 1% 평균 자산·소득 현황
여유 자금을 운용하는 방법으로 상위 1% 가구의 60.3%가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를 꼽았다. 이는 전체 가구 평균 47.9%보다 높은 응답률이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방법은 은행예금 45.8%, 주식 등 직접투자 26.5% 순이었다. 전체 가구 평균은 은행예금 66.6%, 주식 등 직접투자 11.6%였다. 상위 1% 가구가 은행예금은 1.5배 덜 하고, 주식 등 직접투자는 2배 더 많이 한다는 뜻이다. 상위 1% 가구의 펀드 등 간접투자 비율도 8.6%로 전체 가구 1.7%보다 5배가량 높았다.

상위 1% 가구의 평균 연소득은 2억 1632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 6414만원의 3.4배 수준이었다. 근로소득이 9328만원, 사업소득이 3985만원, 재산소득이 7247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과 비교해 근로소득(4125만원)은 2.3배, 사업소득(1160만원)은 3.4배, 재산소득(426만원)은 17배 차이를 보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