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가구, 빚 갚는데 소득 40% 쓰고

임대가구, 빚 갚는데 소득 40% 쓰고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9-03-28 23:28
수정 2019-03-29 02: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은 ‘금융안정 상황’ 발표

가구당 평균 부채 1억 9000만원
총 372兆… 비임대가구의 약 3배
예금 등 보유자산보다 빚이 더 많아
“단기·일시상환 개인사업자 많은 탓”
이미지 확대
빚을 낸 부동산 임대가구가 평균 1억 9000만원의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고 소득의 40% 이상을 부채 원금과 이자를 갚는 데 쓰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28일 발간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주택이나 상가, 오피스텔 등을 임대하는 가구수는 328만 가구로 전체 1969만 가구의 16.7%다. 임대가구 중 소득 상위 40%(4·5분위) 및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이 각각 59.5%, 41.8%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임대가구 10가구 중 6가구꼴로 금융부채가 있었으며 그 규모는 총 372조 4000억원이다. 가구당 평균 1억 9000만원으로, 비(非)임대가구의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인 7000만원을 웃돌았다. 부채 구조가 취약한 단기(만기 1년 이내) 및 일시상환방식 대출 비중이 각각 26.9%, 35.3%로 비임대가구(20.6%, 26.7%)보다 높았다. 한은은 “상가, 오피스 등 비주택을 중심으로 단기 일시상환 방식의 개인사업자 대출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임대가구의 재무건전성은 비임대가구에 비해 떨어졌다. 임대가구의 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DSR)은 40.8%로 조사됐다. 연소득의 40% 이상을 부채 원금과 이자를 갚는 데 쓴 것이다.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106%로 집계됐다. 예금이나 현금 등 보유한 금융자산보다 빚이 더 많다는 뜻이다.

유동성 측면에서 빚을 갚을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임대가구 비중은 6.8%로 나타났다. 연간 처분가능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많은 동시에 금융자산보다 금융부채가 많은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다만 토지·건물 등 실물자산까지 고려했을 때 총자산보다 총부채가 많은 임대가구 비중은 1%였다.

한은은 “향후 부동산 시장 위축 움직임 등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기관은 대출을 취급할 때 차주의 부채상환능력 및 담보가치 평가를 보다 엄격히 하는 등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9-03-2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