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름폭 커지는 기름값…전국 휘발유 가격 3주째 상승세

오름폭 커지는 기름값…전국 휘발유 가격 3주째 상승세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3-09 10:38
수정 2019-03-09 1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월 첫째주 4.4원 오른 1천350.3원…“당분간 상승세 이어질듯”

이미지 확대
서울 휘발유 평균 가격은 1400원대
서울 휘발유 평균 가격은 1400원대 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 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전국 주유소의 보통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ℓ당 1349.17원, 서울은 1450.70원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시내 한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표. 2019.3.3
연합뉴스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3주째 오름세를 지속했다.

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3월 첫째 주 전국 주유소의 보통 휘발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ℓ당 4.4원 오른 1천350.3원으로 집계됐다.

보통 휘발유 가격은 작년 10월 다섯째 주 이후 주간 기준으로 줄곧 전주 대비 하락세를 보이다가, 2월 셋째 주 처음 상승 전환한 뒤 3주째 오름세를 지속했다.

오름폭도 점점 가팔라지고 있다.

2월 둘째 주(1천342.7원) 대비 셋째 주(1천342.9원)의 상승 폭은 0.2원이었으나 넷째 주(1천345.9원)는 전주보다 3.0원 올랐고, 이달 첫째 주의 전주 대비 상승 폭은 이보다 더 커진 4.4원이었다.

자동차용 경유 가격은 전주보다 4.8원 상승한 1천250.3원으로 집계됐다. 실내용 등유도 938.2원으로 전주보다 1.2원 상승했다.

상표별로 살펴보면 가장 저렴한 알뜰주유소에서 판매되는 휘발유가 전주보다 3.9원 오른 1천320.8원에 판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비싼 상표는 SK에너지로, 전주보다 3.5원 상승한 1천364.6원이었다.

지역별로는 최저가 지역인 서울의 휘발유 가격이 ℓ당 1천450.8원으로 전주보다 3.3원 상승했다. 최저가 지역은 대구로 전주보다 4.2원 오른 1천312.1원에 거래됐다.

석유공사는 “국제유가는 2월 석유수출국기구(OPEC) 원유생산량 감소 전망과 러시아 감산 목표 달성 가능성 등 상승요인과 미국 원유재고 증가 및 리비아 유전 생산 재개라는 하락요인이 혼재해 보합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다만 “국내 제품가격은 기존 국제유가 상승분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만큼, 당분간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는 전주와 동일한 배럴당 65.9달러 수준에서 거래돼 보합세를 나타냈다.

김원중 서울시의원, 서울시 전기 따릉이 출시 검토요청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김원중 의원(성북2, 국민의힘)은 지난 5일 열린 교통실 행정사무감사에서 공유 전기자전거 불법주차 문제와 공공 전기자전거 도입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지적하며, 서울시가 ‘전기 따릉이(e-따릉이)’ 도입을 다시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2025년 8월 현재 서울시 공유자전거는 6개 사업자 7개 브랜드에서 4만 1421대 운영 중이며 방치 자전거에 대한 민원 역시 계속 증가함에도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에 따라 ‘10일 이상 공공장소에 무단으로 방치되어 통행을 방해하는 자전거’만 견인할 수 있어 PM(개인형 이동장치) 방치 견인 같은 즉시 조치는 불가능하다. 김 의원은 “최근 3년간 공유 전기자전거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음에도, 서울시가 관리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현행법이 급변하는 교통환경을 따라가지 못한다면, 서울시가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의원은 과거 서울시가 추진했었던 전기 따릉이(e-따릉이) 사업의 추진을 제안하며, “민간 기업이 이익을 우선시하는 구조에서는 사회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공공이 나서 시민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자연스럽게
thumbnail - 김원중 서울시의원, 서울시 전기 따릉이 출시 검토요청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