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합승 36년만에 부활하나…국토부 “신중히 검토”

택시 합승 36년만에 부활하나…국토부 “신중히 검토”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2-27 10:41
수정 2018-02-27 1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앱 활용하면 호객·요금시비 줄 것”…“승객 불안 해소가 관건”

정부가 36년만에 택시 합승을 허용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길게 줄 서 있는 택시.  서울신문
길게 줄 서 있는 택시.
서울신문
국토교통부는 27일 “심야 택시 승차난 해소 등을 위해 택시 합승을 다시 허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택시 합승은 1982년 전면 금지됐다.

당시 택시 기사들의 호객 행위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컸고, 여러 명의 승객이 하나의 미터기로 요금을 나누는 과정에서 시비도 빈번했다.

택시 기사와 합승객이 공모해 강력범죄를 저지르는 일도 종종 있어 국민 불안이 커지자 정부가 택시 합승을 금지했다.

국토부는 지난달 김현미 장관과 O2O(온라인과 오프라인 결합) 교통 서비스 업체 간담회에서 업체들이 “스마트폰 등 신기술을 이용해 택시 합승을 부활시키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구하자 합승 허용 검토를 시작했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도 이런 업계의 목소리를 고려해 다음달 택시업계 관계자 등을 모아 ‘4차산업혁명과 택시산업 발전방안’을 주제로 해커톤을 열고 합승 허용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해커톤(Hackathon)은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마라톤을 하듯 긴 시간 함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행사를 말한다.

업계는 스마트폰 앱(App)을 이용하면 호객 행위 우려와 요금 시비 문제가 쉽게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현재 사용 중인 ‘카카오택시’ 등 앱처럼 GPS(위성항법장치) 위치 정보를 이용해 승객을 모으고 이동 거리를 정확히 측정해 요금을 산정하면 택시 기사도 승객도 큰 불만이 없으리라는 것이다.

안전에 대한 우려 또한 앱을 이용하면 덜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택시 기사 신상정보는 물론 승객의 승차·이동·하차 등 기록이 모두 남기 때문에 범죄 우려도 적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여전히 택시 합승에 대한 승객의 거부감이 크고, 안전에 대한 불안도 적지 않아 국토부는 합승 허용에 신중한 모습이다.

실제 2015년 서울시가 금요일 새벽 시간대에 강남역 일대에서 한시적으로 택시 합승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시민들의 반대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택시업계도 “합승을 근절하려 했던 노력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기 때문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다음달 열리는 4차위의 해커톤에서 나온 의견과 업계의 입장, 시민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수렴하고 합승 허용 시 장단점을 면밀히 파악해 합승 허용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서울대공원의 대형 주차장 운영 방식을 둘러싼 특정 사업자 특혜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6일 2025년도 서울대공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내년 8월 만료되는 대형 주차장 운영 계약을 둘러싼 감사원 지적 사항 미이행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감사원이 ‘사용 수익허가’ 방식의 부적절성을 명확히 지적하고 ‘관리 위탁’ 방식으로 전환하라고 권고했음에도, 서울대공원은 이를 무시한 채 제자리걸음을 해왔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주차장의 계약 만료가 임박했는데 감사 결과도 모르고 나왔느냐”며 질타했지만, 서울대공원장은 “공유재산법 절차에 따르겠다”며 원론적 답변만 반복했고, 감사 내용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답해 논란을 키웠다. 이 의원이 공개한 감사원 보고서에는 “주차장 부지 사용수익허가 방식이 아닌, 관리 위탁 방식으로 운영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공유재산의 적정한 관리와 공정한 경쟁 확보 측면에서 현행 방식은 위법 소지가 크다고 판단한다. 이 의원은 서울대공원의 미흡한 대응에 대비해 법률 자문을 의뢰했고 “사용수익허가 만료 후 동일 사업자에 대한 재허가 의무는 없다”고 해석했다
thumbnail -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