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M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직접 영상 등 콘텐츠를 제작해 방송을 진행하는 ‘1인 창작자’들을 지원하며 신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CJ E&M의 멀티채널네트워크(MCN) 브랜드 ‘다이아(DIA) TV’는 2013년 7월 국내 최초로 MCN 사업에 진출한 이후 지속적으로 1인 창작자들에게 동영상 제작 기법을 전수하고 저작권·음원 관리를 지원하며 전용 스튜디오, 다국어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또 올해 1월 1일부터는 아시아 최초로 1인 창작자 전문 방송 채널을 개국해 창작자들의 콘텐츠를 TV로도 방영할 수 있게 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 7월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제2회 다이아 페스티벌에서 국내 최고령 1인 창작자 박막례(왼쪽·71)씨가 자신의 팬에게 화장 시연을 하고 있다. CJ E&M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7월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제2회 다이아 페스티벌에서 국내 최고령 1인 창작자 박막례(왼쪽·71)씨가 자신의 팬에게 화장 시연을 하고 있다. CJ E&M 제공
지난 7월에는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1인 창작자 축제인 ‘제2회 다이아 페스티벌’도 개최했다. 서울시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하고 서울산업진흥원이 주관한 이 행사에는 약 4만명의 방문객이 찾아 큰 호응을 보였다.
이 밖에도 파트너 창작자들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유럽 최대의 동영상 플랫폼 ‘데일리모션’에 창작자 100개팀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개설해 한류 콘텐츠를 유통시키는 한편 일본의 ‘움’, 북미의 ‘비키’ 등 각국의 콘텐츠 전문 사이트와 영상 제휴를 확대하고 있다.
이런 지원에 힘입어 지난 7월 기준 다이아TV의 파트너 창작자 1300개 팀의 합산 유튜브 구독자 수 1억 1000만명, 누적 조회수 253억회를 각각 돌파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이 중 320개 팀은 중국, 일본, 영국, 러시아, 뉴질랜드 등 해외 30개국에서 활동하는 글로벌 파트너다. CJ E&M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글로벌 파트너의 비중을 30%까지 확대해 모두 2000개 팀의 파트너 창작자를 확보하고, MCN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