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통 트인 금융권 인사…KB금융·BNK금융 진통 우려도

숨통 트인 금융권 인사…KB금융·BNK금융 진통 우려도

입력 2017-09-07 10:59
수정 2017-09-07 10: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흥식 금감원장, 이동걸 산은 회장, 은성수 수출입은행장 내정

최종구 금융위원장 취임 이후 두 달 가까이 꽉 막혔던 금융권의 인사에 숨통이 트였다.

7일 차기 산업은행 회장에 이동걸 동국대 교수가, 수출입은행장에 은성수 한국투자공사 사장이 각각 내정됐으며, 금융감독원장에는 최흥식 서울시립교향악단 대표가 전날 내정됐다.

산은과 수은의 기관장이 교체되면서 이들 두 기관이 주도하는 기업 구조조정과 수출기업 지원 등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당장 이 내정자는 금호타이어 채권단을 대표해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매각작업을 이끌어야 한다.

오는 28일 선임되는 한국거래소 이사장에는 10명 안팎이 지원했지만, 김광수 전 금융정보분석원장의 선임이 유력시된다.

관심이 쏠렸던 금융권 공공기관장의 공석이 이렇게 채워지면서 후속 인선도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최 대표가 취임하면 금감원 임원들은 관례에 따라 일괄 사표를 제출할 것으로 보인다. 서태종 수석부원장의 후임으로 유광열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이 거론된다.

공석인 금융위 사무처장·상임위원 인선은 정부 부처 전반의 1급 인사와 연동돼 이뤄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한국투자공사, 서울보증보험, 수협은행 정도의 기관이 당장 공백을 메워야 할 자리로 꼽힌다. 기획재정부나 금융위 관료 출신이 우선 거론되지만, 금감원장이나 산은 회장처럼 민간 출신이 기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간 금융회사 중에선 박인규 DGB금융지주 회장과 대구은행장이 비자금 의혹으로 경찰의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거취가 주목된다.

KB금융은 윤종규 지주 회장 겸 국민은행장의 임기가 두 달여 남아 차기 회장 선출 절차가 시작됐다.

그러나 KB금융 계열사 노동조합들이 차기 회장 선임 절차의 투명성과 공정성 등을 문제 삼으면서 진통이 예상된다.

BNK금융지주 회장도 마찬가지다.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노조가 그를 ‘부적격자’로 간주해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손해보험협회장 후보로 지대섭 한국화재보험협회 이사장, 나명현 전 현대해상 감사, 강영구 메리츠화재 사장, 허창언 금융보안원장 등이 거론된다.

이 밖에 김재천 주택금융공사 사장 임기가 다음 달까지다. 하영구 은행연합회장(11월)과 이수창 생명보험협회장(12월)은 연내 임기 만료다. 정희전 서울외국환중개 사장도 연내 퇴임한다.

김원중 서울시의원, 서울시 전기 따릉이 출시 검토요청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김원중 의원(성북2, 국민의힘)은 지난 5일 열린 교통실 행정사무감사에서 공유 전기자전거 불법주차 문제와 공공 전기자전거 도입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지적하며, 서울시가 ‘전기 따릉이(e-따릉이)’ 도입을 다시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2025년 8월 현재 서울시 공유자전거는 6개 사업자 7개 브랜드에서 4만 1421대 운영 중이며 방치 자전거에 대한 민원 역시 계속 증가함에도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에 따라 ‘10일 이상 공공장소에 무단으로 방치되어 통행을 방해하는 자전거’만 견인할 수 있어 PM(개인형 이동장치) 방치 견인 같은 즉시 조치는 불가능하다. 김 의원은 “최근 3년간 공유 전기자전거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음에도, 서울시가 관리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현행법이 급변하는 교통환경을 따라가지 못한다면, 서울시가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의원은 과거 서울시가 추진했었던 전기 따릉이(e-따릉이) 사업의 추진을 제안하며, “민간 기업이 이익을 우선시하는 구조에서는 사회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공공이 나서 시민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자연스럽게
thumbnail - 김원중 서울시의원, 서울시 전기 따릉이 출시 검토요청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