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서비스수지 적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논란의 후폭풍으로 해석된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7년 6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상반기 서비스수지는 157억 4000만 달러 적자다. 이는 반기 기준 사상 최대 규모다. 종전 최대이자 직전인 2016년 하반기(97억 8000만 달러) 기록을 뛰어넘었다.
서비스수지 중 여행수지와 운송수지가 악화된 영향이 컸다. 상반기 여행수지 적자는 77억 4000만 달러로, 반기 기준으로 2007년 하반기(82억 5000만 달러) 이후 사상 두 번째 규모다. 특히 6월 적자는 13억 9000만 달러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불거졌던 2015년 7월(14억 7000만 달러) 이후 23개월 만에 최대다. 중국인 관광객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6월 중국인 입국자는 25만 5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4% 추락했다. 상반기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은 전년 동기 대비 16.7% 줄어든 675만 2005명으로, 외국을 찾은 우리 국민(1262만 762명)의 절반에 그쳤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7-08-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