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집 연 매출 1억4천만원…편의점 3분의 1

치킨집 연 매출 1억4천만원…편의점 3분의 1

입력 2017-06-23 14:21
수정 2017-06-23 14: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랜차이즈 영업이익 10%도 안 돼

치킨집의 가맹점당 평균 매출액이 편의점의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프랜차이즈 영업이익은 3년 전보다 개선됐지만 여전히 10%도 채 되지 않았다.

숙박·음식점업체 10곳 중 7곳은 하루 10시간 이상 영업하고 2곳 중 1곳은 월 휴무일이 없었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 기준 경제총조사 확정결과’를 23일 발표했다.

◇ 프랜차이즈 창업 열풍 계속…가맹점 수 4년 만에 23% 늘어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말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교육서비스업 제외)는 18만1천개, 종사자 수는 66만명이었다.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는 직전 조사인 2012년보다 22.9% 늘었고 종사자는 35.9% 늘었다.

전체 프랜차이즈 매출액은 50조3천억원으로 직전 조사인 2012년보다 42.0% 증가했다.

가맹비용, 임대료, 보증금, 인건비 등 영업 비용을 빼면 영업이익은 46.3% 늘어난 5조원이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인 영업이익률은 9.9%였다.

2012년보다 0.3%포인트 상승하긴 했지만 여전히 한 자릿수였다.

가맹점당 매출액은 2억7천840만원, 가맹점당 영업이익은 2천740만원으로 집계됐다.

산업별로 가맹점당 영업이익을 보면 기타서비스업이 3천11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도·소매업 2천890만원, 숙박·음식점업이 2천610만원 순이었다.

기타서비스업 평균 영업이익이 10.3% 늘었고 숙박·음식점업(30.0%), 도·소매업(4.3%)에서도 평균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편의점, 치킨, 커피 전문점 등 주요 프랜차이즈 3대 업종만 보면 가맹점 수에선 편의점이 2만9천628개로 16.4%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컸다.

치킨집은 2만4천719개로 13.7%, 커피전문점의 가맹 사업체가 1만4천17개로 7.8%로 집계됐다.

가맹점당 매출액은 편의점이 2014년보다 0.3% 줄어든 4억2천970만원이었다.

편의점 평균 매출액은 치킨집(1억3천580만원)의 3.1배였다.

치킨집은 커피전문점(1억6천120만원)보다 평균 매출액이 작았지만 증가율은 19.0%로 3대 업종 가운데 가장 높았다.

◇ 10시간 이상 영업하는 사업체 ‘쑥’

사업체 영업시간을 조사한 결과 숙박·음식점업은 10시간 이상 영업하는 사업체가 8.8%포인트 상승한 73.4%에 달했다. 12∼14시간 미만이 28.5%로 가장 많았다.

도·소매업은 10∼12시간 미만이 33.3%로 가장 비중이 컸다.

10시간 이상 영업하는 도·소매 사업체는 65.7%에 달해 2010년보다 12.7%포인트나 증가했다.

예술·스포츠·여가 업종은 14시간 이상 영업하는 사업체가 37.9%로 영업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었다.

독서실 운영업(92.9%), 컴퓨터 게임방(92.8%), 체력단련시설 운영업(72.0%) 등의 영향이다.

전체적으로는 하루 10시간 이상 영업하는 사업체가 절반에 가까웠다.

하루 8∼10시간 미만 영업하는 사업체 비중이 30.8%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10∼12시간 미만(28.5%), 12∼14시간 미만(18.3%) 순이었다.

월평균 4∼5일 쉰다는 사업체가 전체 36.5%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월 휴무일이 없다는 사업체도 27.9%에 달했다. 예술·스포츠·여가(62.5%), 광업(55.8%), 숙박·음식점(49.8%) 등이 쉬지 않고 일하는 비율이 높았다.

월 8일 이상 휴무는 25.7%로, 금융·보험(91.9%), 출판·영상·방송(79.9%)에서 그 비중이 컸다.

◇ 숙박업 객실 수 늘리고 식당 의자 수 줄었다

산업별 영업 활동과 밀접한 항목을 조사한 결과 2015년 광업·제조업 출하액은 1천698조원, 출하액에서 영업 비용을 뺀 영업이익은 129조원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은 7.6%로, 직전 조사인 2010년보다 3.7%포인트 하락했다.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매출액은 148조3천억원, 영업이익은 13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률은 0.3%에서 11.6%로 뛰었다.

건설업 매출액은 213조원으로 집계됐다.

그중 건설공사 수입액이 183조원(86%), 분양수입액이 19조원(8.9%), 기타수입액이 11조원(5.1%)로 나타났다.

숙박업 2015년 총 객실 수는 111만1천 실로 2010년보다 13.5% 늘었다.

숙박업 사업체당 객실 수는 21실로 2010년(20실)보다 증가했다.

음식점업 및 주점업 총 객석 수는 2천637만6천석으로 9.0% 증가했다.

사업체당 객석 수는 40석으로 2010년(42석)보다 줄었다.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을 보면 연구개발업 종사자는 21만5천200명으로 집계됐다.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종사자가 19만4천300명으로 전체의 90.3%, 인문 및 사회과학 연구개발업 종사자는 2만900명으로 9.7%에 그쳤다.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는 63만2천명이었고 그중에선 보육교사 24만4천명(38.6%), 돌봄인 12만4천명 (19.6%), 사회복지사 7만9천명(12.5%) 순으로 많았다.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연간 총 이용 인원수는 14억7천167만명이었다. 직전 조사보다(13억4천977만명) 9.0% 늘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