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업계 1분기 실적 ‘희비’
‘한국타이어의 질주, 금호타이어의 역주행.’타이어 업계가 호황기에 진입했지만 업체 간 희비는 극명하게 갈린다. 한국타이어는 1분기 두 자릿수의 영업이익률을 내면서 타이어 업계의 ‘맏형’ 역할을 충실히 해낸 반면, 2위 금호타이어는 3위 업체보다 못한 실적을 냈다. 금호타이어는 5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한 고무 가격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면서 6분기 만에 적자 전환(-282억원)이라는 초라한 성적을 발표했다. 반면 넥센타이어는 북미 지역 부진에도 불구, 10%대 영업이익률을 올리면서 선방했다.

지난달 28일 가장 먼저 실적을 발표한 한국타이어 매출은 1조 6392억원, 영업이익 2322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14.1%로 국내 3사 중에선 가장 높다.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고무 가격 급등과 환율 하락으로 마진이 축소될 것이란 관측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본격적인 제품 가격 인상 전에 사두자”는 딜러들의 재고 확보 경쟁이 이어지면서 판매 물량은 10% 넘게 늘었다. 국내 완성차 업체 의존도를 줄인 것도 한몫했다. 최근 고전을 하고 있는 현대·기아차 비중은 전체 매출의 6~7%에 그친다. 한국타이어는 “전체 매출의 83%를 해외에서 올린다”면서 “전 세계 45개 완성차 업체, 310개 차종에 제품을 공급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금호타이어는 경영권 리스크에 발목이 잡혀 수익 개선 기회를 놓쳤다. 중국 업체 더블스타에 인수되면 기존 가격보다 더 낮춰 팔 수밖에 없다 보니 적기에 제품 가격을 올리지 못한 것이다. 게다가 완성차 업체들도 금호타이어가 앞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지 불명확하다 보니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중국 시장에서 신차용 타이어 비중이 80%에 달하는 것도 실적 악화의 요인이다. 금호타이어의 전체 신차용 타이어 비중(35%)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업계에서 신차용 타이어와 교체 타이어는 3대7의 비율을 ‘황금률’이라고 한다. 교체 타이어 시장이 더 클 뿐 아니라 마진도 더 남기 때문이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7-05-1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