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야금야금 올랐던 대출금리 오름폭 커진다

[美 금리인상] 야금야금 올랐던 대출금리 오름폭 커진다

입력 2017-03-16 09:15
수정 2017-03-16 09: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은행권, 제2금융권, 주담대~카드론까지 전방위 상승

미국이 16일 금리를 추가 인상함에 따라 국내 금융권의 금리 오름세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고금리의 경우 5% 가까이 치솟았다.

더구나 고정금리 대출은 3월 들어 거의 매일 금리가 오르는 상황이다.

시장에 3월 금리 인상분이 일부 반영됐지만, 추가로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은행뿐 아니라 저축은행의 모기지론, 신용대출, 카드론 등 제2금융권의 금리도 전방위적인 상승이 예상된다.

다만 코픽스를 연동으로 한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등은 한시적으로 소폭 하락할 전망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의 금리가 3월 들어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신한은행의 금융채 5년물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는 2월 말 연 3.32~4.43%에서 지난 15일 3.43~4.54%로 올랐다. 보름 만에 0.1%포인트나 오른 셈이다.

다른 은행도 사정은 비슷하다.

우리은행의 5년 고정혼합 상품도 같은 기간 3.37~4.37%에서 3.49~4.49%로 0.12%포인트 올랐고, KEB하나은행의 5년 고정혼합 상품도 3.36~4.68%에서 3.49~4.81%로 0.13%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매일 금리가 오르는 추세여서 연준의 금리 인상 이후 상승세가 더욱 가열될 공산이 크다.

농협은행의 5년 혼합형 주택담보대출은 지난 6일 3.38∼4.44%에서 매일 올라 10일에는 3.48∼4.52%로 나흘 만에 0.1%포인트나 뛰었다.

코픽스 금리에 좌우되는 변동금리 대출은 소폭 하락이 예상된다.

15일 발표된 2월 신규 코픽스 금리가 0.02%포인트, 잔액 코픽스가 0.01%포인트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6일부터 코픽스를 근간으로 하는 변동금리 대출은 코픽스 하락 폭만큼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한 달 후에는 다시 가파르게 올라갈 것이 확실시된다. 코픽스는 한 달의 격차를 두고 시중에 반영되는 만큼 3월 금리 인상은 4월에야 코픽스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제2금융권의 금리도 상승 중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가중평균금리는 지난해 12월만 해도 5.74%였지만 1월에는 6.09%로 0.35%포인트 올랐다.

상호금융기관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3.56%로 전월(3.48%)대비 0.08%포인트 올랐다.

신용대출 금리도 오름세다. 일반신용대출의 가중평균금리는 지난해 12월 말 22.39%였지만 지난 1월 말에는 22.88%로 0.49%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은행도 마찬가지다. OK저축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작년 말 25.77%에서 올 1월 25.93%로 0.16%포인트 올랐다. JT친애저축은행(21.85%)과 HK저축은행(26.41%)은 각각 0.09%포인트, 0.07%포인트씩 올랐다.

카드론 금리도 비슷하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1월 말 기준으로 신한카드와 하나카드를 제외한 5개 전업 카드사의 카드론 평균금리가 모두 올랐다.

우리카드는 작년 말 14.1%에서 14.67%로 0.57%포인트 올랐고, KB국민카드도 같은 기간 14.21%에서 14.59%로 0.38%포인트 상승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