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가구 절반 이상 노후준비 미흡…노인 절반은 빈곤층

가구 절반 이상 노후준비 미흡…노인 절반은 빈곤층

입력 2016-12-20 12:03
업데이트 2016-12-20 15: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가구 중 1곳 “노후준비 전혀 안돼”…자영업자 빈곤율 12.9%로 상승

한국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가구 중 절반 이상이 노후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가구 5곳 중 1곳은 노후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해 우려를 키우고 있다.

또 노인의 절반 가량은 ‘빈곤층’으로 파악됐다.

부채는 소득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빚은 6.4% 늘었는데 소득은 2.4% 증가에 그쳐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는 가계의 소득 증가가 둔화한 현실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작년 한해 조사대상 2만 가구의 평균 가구소득은 4천883만원으로 2014년(4천770만원)보다 113만원(2.4%) 늘었다.

소득에서 세금 등 비소비성 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은 4천22만원으로 2014년에 비해 95만원(2.4%) 증가했다.

가구소득 가운데 근로소득은 3천199만원으로 전년 대비 2.2% 늘었지만, 사업소득은 1천122만원으로 1.7% 줄었다.

가구주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 가구가 6천341만원으로 가장 많고 자영업자 가구는 5천611만원, 임시·일용근로자 가구는 2천902만원으로 집계됐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4.9%로 가장 높았다.

가계의 평균 소득 증가율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2012년에는 5.8%를 기록했지만 2013년 4.0% 떨어졌고 2014년부터 2년 연속 2.4%로 집계됐다.

특히 가계 소득 증가율이 부채 증가율보다 훨씬 낮다는 점에서 우려를 키운다.

올해 3월 말 현재 가구당 평균 부채는 6천655만원으로 1년 사이 6.4% 증가했다.

소득 증가율보다 부채 증가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동안 가계부채 대책으로 소득 증가에 공을 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 자영업자 빈곤율 상승…19.3%는 노후준비 전혀 안돼

빈곤층의 소득은 정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빈곤율은 처분가능소득 기준 16.0%로 집계됐다.

지난해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중위소득의 50% 기준) 기준 빈곤선은 연간 1천188만원이다.

특히 노인층 상황이 심각하다.

65세 이상 노인층의 빈곤율은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46.9%이고 은퇴연령층(66세 이상)은 48.1%나 된다.

노인층 빈곤율이 2014년보다 0.1%p 낮아졌지만, 여전히 노인 2명 중 1명은 빈곤에 허덕이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노후에 대한 불안감과 직결된다.

지난 3월 말 현재 조사가구 중 은퇴 가구의 비율은 16.3%로 작년(15.1%)보다 1.2%p 높아졌다.

또 예상 은퇴 연령은 66.9세로 1년 전보다 0.7세 올라갔다.

그러나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를 대상으로 노후준비 상황을 조사한 결과, ‘아주 잘돼 있다’(1.3%)와 ‘잘 돼 있다’(7.5%) 등 긍정적 답변은 8.8%에 그쳤다.

반면 ‘잘 돼 있지 않다’(37.3%)와 ‘전혀 돼 있지 않다’(19.3%) 등 부정적 응답은 56.6%로 절반을 넘었다.

부정적 응답이 작년(55.4%)보다 1.2% 포인트 올라갔다.

노후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다는 응답은 작년 조사 때 17.4%보다 1.9%p나 상승했다.

빈곤율을 종사상 지위별로 살펴보면 자영업자의 상황이 악화됐다.

지난해 자영업자 가구의 빈곤율은 12.9%로 2014년(12.3%)보다 0.6%p 높아졌다.

반면 상용근로자(4.4%→4.1%)와 임시·일용근로자(24.7%→21.8%)는 빈곤율이 소폭으로 떨어졌다.

◇ 가구당 평균 자산 3억6천만원…부동산 자산 5.8%↑

가계는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많이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3월 말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6천187만원으로 작년(3억4천685만원)보다 4.3% 늘었다.

금융자산은 9천400만원으로 1.2% 늘었고 실물자산은 2억6천788만원으로 5.5% 증가했다.

특히 실물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 자산이 2억5천29만원으로 5.8% 많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저금리 장기화 등에 따른 부동산 경기의 호조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 쏠림현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앞으로 문제가 될 위험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으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 등 외부충격이 발생하면 부채가 많은 가계의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계 자산에서 상위층 비중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가 보유한 자산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4.7%로 작년보다 0.2%p 올랐고 4분위 가구의 점유율도 0.2%p 오른 22.1%로 집계됐다.

그러나 소득 1분위(하위 20%)의 점유율은 6.7%로 작년보다 0.2%p 낮아졌다.

순자산(자산-부채)이 10억원 이상인 가구는 전체의 4.5%로 작년보다 0.3%p 높아졌다.

다만,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의 지니계수는 0.341로 전년보다 0.04p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니계수는 불평등 정도를 수치화한 지표로 0(완전평등)과 1(완전불평등) 사이의 값을 나타낸다.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정도가 심하다는 뜻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