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AI 피해 ‘눈덩이’…탄핵정국에 정부 늑장대응도 한몫

AI 피해 ‘눈덩이’…탄핵정국에 정부 늑장대응도 한몫

입력 2016-12-12 13:55
업데이트 2016-12-12 1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H5N6형)로 인한 가금류 피해가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의 늑장대응이 사태 악화에 한몫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미지 확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무서운 속도로 확산, 역대 최단 기간 내에 최대 피해가 우려되는 1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농림부 가축방역대책본부에서 한 관계자가 현황파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무서운 속도로 확산, 역대 최단 기간 내에 최대 피해가 우려되는 1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농림부 가축방역대책본부에서 한 관계자가 현황파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0시까지 228개 농가에서 닭·오리·메추리 등 가금류 878만8천 마리가 살처분됐고, 14개 농가의 154만1천 마리는 살처분이 예정돼있어 1천만 마리를 훌쩍 넘기게 됐다.

이런 추세라면 2014년 고병원성 AI(H5N8형) 확산으로 입었던 역대 최대 피해 규모를 수일 내 넘어설 전망이다. 2014년 195일 동안에 살처분된 마릿수가 1천396만 마리였고, 이듬해 초까지 이어진 피해를 합하면 1천937만 마리에 달했다.

가금류 질병 전문가들은 올해 고병원성 AI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원인으로 H5N6형 AI 바이러스의 강한 독성과 함께 정부의 느린 대응, 농가의 방역인식 약화와 현장 방역인력 부족 등을 꼽았다.

우선 H5N6형 고병원성 AI는 감염된 닭과 오리 등이 일시에 폐사하는 등 강한 독성을 보이고 있다. 2014년 유행했던 H5N8형 고병원성 AI가 상당기간 잠복기를 거친 뒤 임상증상이 나타났던 것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2014년에는 의심 신고가 들어와서 정밀검사를 해보면 이미 항체가 형성돼있는 것이 발견될 정도로 임상 증상이 천천히 나타났는데 이번에는 하룻밤 사이에 한 농장에서 수백 마리 또는 수천 마리가 한꺼번에 폐사할 정도로 바이러스의 독성이 강하다”고 말했다.

겨울 철새의 도래에 따라 전국 각지에 동시다발적으로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퍼진 점도 원인으로 꼽힌다. 김재홍 서울대 수의과대학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올해 고병원성 AI가 빨리 퍼진 이유는 철새 감염이 워낙 광범위하게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탄핵정국으로 인해 정부가 신속하게 총력대응에 나서지 못했고 현장의 방역조치가 충분치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AI 관련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정부 차원의 대책 강화를 지시했다. 지난달 16일 전남 해남군과 충북 음성군 가금류 농장에서 H5N6형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지 26일 만이다.

AI 확진 후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이 당시 황 총리 주재 국무회의에 처음 보고한 것이 지난달 22일이었고, 사흘 후 황 총리는 경기도청 북부청사에 마련된 방역대책 상황실을 찾아서 대응 상황을 점검했다.

이후 11월 28일 황 총리 주재로 열린 ‘총리·부총리 협의회’에서 AI 대응 문제가 여러 현안 중 하나로 언급됐고, 사흘 후인 지난 1일 같은 회의에서 방역조치 강화 문제가 비중있게 다뤄졌다.

하지만, 현재 유행 중인 AI 바이러스의 빠른 전파 속도를 감안할 때 정부의 대응 조치는 다소 뒤처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재홍 교수는 “정부 측 방역 인식이 2010년 이전과 2010년 이후가 많이 다르다”면서 “특히 지방자치단체 방역 부분에서 제대로 돌아가는 곳이 별로 없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살처분 조치 후에도 오염된 농장을 관리해야 하는데 방치하다시피 하는 바람에 확산을 앞당겼다”며 “산란계 농장의 경우 규모가 대형화돼 한번 감염되면 수십만 마리를 한꺼번에 살처분하게 돼 피해 마릿수가 폭증하게 된 점도 있다”고 설명했다.

농가와 지자체의 방역 인식 약화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김 교수는 “농가에서 방역인식이 해이해져 차단방역이 제대로 안 됐고, 지자체 역시 초동대응 단계에서 축농가에 강력히 경고하라고 권고했지만 잘 안 먹혀들어간다”며 “오리, 산란계, 종계 등 각 협회마다 이해관계가 달라 합심협력에서 느슨해진 부분이 있는데 이를 총체적으로 다잡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자체의 현장 방역인력 부족으로 감염이 발생한 지역에 방역관이 한 명도 없거나 태부족인 경우가 많은 점도 보완해야 할 요소로 꼽히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