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가치 하락 등 변동성 영향
“3만弗=선진국 무의미” 주장도다른 나라는 진입에 평균 8.2년

20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중기 경제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018년 3만 1744달러를 기록, 처음으로 3만 달러의 벽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됐다. 국제통화기금(IMF)이 2020년(3만 317달러)에 3만 달러대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 것과 비교하면 2년가량 빠르다. 지난해에는 2만 7214달러였다.
예산정책처는 실질 GDP 증가율(경제성장률)이 2016년 2.6%에서 2018년 2.9%로 점차 오르고, 같은 기간 원·달러 환율은 1155원에서 1081원으로 내려 원화 가치가 절상되는 것을 전제로 이런 전망을 내놨다.
1인당 GDP가 2018년 3만 달러를 돌파하면 2006년 2만 달러 진입 후 12년 만이 된다. 다른 선진국은 평균 8.2년이 걸렸다. IMF에 따르면 전 세계 190개국 가운데 지난해 기준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어선 나라는 25개국이다.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로 가장 빨리 도약한 나라는 스위스로, 단 2년이었다. 캐나다(15년), 프랑스(13년), 싱가포르(12년) 등은 오래 걸린 편이다.
3만 달러 진입이 지연된 이유에는 원화 가치 하락이 큰 영향을 줬다.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명목 GDP 성장률이 연평균 5.4% 성장했으나 원화 가치가 956원에서 1131원으로 18.4% 하락하면서 달러로 계산되는 1인당 GDP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예산정책처는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예산정책처의 전망이 다소 낙관적이라는 평을 내놨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제가 성장하면 원화 가치가 오를 수 있으나 2018년까지 2% 중반대 성장을 벗어나기 어려워 보여 환율 하락을 전제로 한 전망이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09-2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