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꽁 언’ 세계무역 6년만에 최저… 韓수출 7위로 하락

‘꽁꽁 언’ 세계무역 6년만에 최저… 韓수출 7위로 하락

김규환 기자
입력 2016-08-22 22:26
수정 2016-08-23 0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WTO 올 상반기 교역량 분석

원자재값 하락·전자무역 증가 탓
71개국 중 4분의 3이 수출 감소
韓 수출 감소폭 전년보다 2배↑
‘저유가 직격탄’ 산유국 타격 커


이미지 확대
올해 상반기 세계 교역량이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세계적으로 골이 깊어지는 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하락, 디지털 무역(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무역) 증가 등의 악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탓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에도 볼 수 없던 이례적인 현상이다.

22일(현지시간)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세계 교역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줄어든 14조 4250억 달러(약 1경 6244조원)로 집계됐다. 상반기 세계 교역량은 2010년 상반기(13조 3600억 달러)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상반기 교역량은 2014년 17조 2760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에는 11.7% 급감한 데 이어 올해도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며 글로벌 경제의 심각성을 반영하고 있다. 세계 교역량은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2년 연속 감소하진 않았다. 한국의 올 상반기 수출은 2418억 달러로, 전년(-5%)의 2배 가까운 감소 폭(-9.9%)을 보이는 바람에 프랑스(2545억 달러)에 밀려 세계 7위로 한 계단 내려앉았다.

세계 교역량이 줄어들면서 이번 조사 대상 71개국 가운데 수출이 감소한 국가는 4분의3에 이른다. 상반기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5.1% 감소해 지난해(-11.0%)에 비해 감소세가 크게 둔화됐다. 하지만 중국의 수출 규모가 대폭 감소하며 아시아 국가들의 수출도 크게 줄었다. 중국의 경우 상반기 수입이 10% 줄어든 데다 지난해 증가세를 보였던 수출마저 감소세(-7.7%)로 전환했다. 아시아 국가들 중에서는 인도네시아의 수출 감소 폭이 -11.3%로 가장 컸다. 다음은 말레이시아(-10.2%), 싱가포르(-10.0%), 한국, 대만(-9.1%) 등의 순이다. 저유가의 직격탄을 맞은 산유국들의 타격도 컸다. 지난 5월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최대 산유국으로 떠오른 러시아의 수출은 지난해보다 29.3%나 급감하면서 세계에서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고, 서유럽 최대 산유국인 노르웨이도 수출이 22.5%나 줄었다.

수출 규모 1위는 상반기 9842억 달러를 기록한 중국이 차지했다. 다음은 미국(7112억 달러), 독일(6747억 달러), 일본(3093억 달러), 네덜란드(2778억 달러)가 2~5위를 차지하며 지난해 순위와 변동이 없었다. 8위는 홍콩(2381억 달러), 9위는 이탈리아(2309억 달러), 10위는 영국(2052억 달러)이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6-08-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