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M&A 신성장’ 美 고급 주방가전사 인수

삼성전자 ‘M&A 신성장’ 美 고급 주방가전사 인수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6-08-11 22:42
수정 2016-08-11 23: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택·부동산 시장 진입 가능해져” B2B 신시장 진출 위한 포석인 듯

피아트 차 부품회사 인수설 이어
이번엔 북미 주방가전 시장 공략


삼성전자가 북미 지역 럭셔리 가전 시장 진출 발판 마련을 위해 미국의 가전 브랜드인 ‘데이코’를 인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인수 금액은 1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1965년 설립된 데이코는 미국 캘리포니아 인더스트리시에 본사를 둔 주방가전업체로 고가 빌트인 제품에 주력해 왔다. 레인지·오븐·쿡톱·후드·식기세척기 등으로 구성된 키친 빌트인 패키지의 판매 가격이 2만 달러(약 2200만원)도 넘는다.

삼성전자의 이번 인수합병(M&A)은 전문 유통채널과 사업 노하우 확보로 북미 가전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기업간거래(B2B) 신시장 진출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 1월 중국 하이얼이 북미 가전 시장에서 20%가량의 점유율을 확보한 제너럴일렉트릭(GE) 생활가전 사업부를 인수한 뒤 이 지역에서 한국 기업들이 럭셔리 가전시장 공략을 강화화는 분위기다. LG전자도 ‘LG 시그니처’와 ‘시그니처 키친스위트’ 등 럭셔리 브랜드를 앞세워 이 시장을 공략 중이다.

삼성전자는 럭셔리 가전의 주요 소비처인 주택·부동산 업계에서의 사업 경쟁력을 높여 북미 생활가전 시장에서 지속 성장을 꾀한다는 목표다. 윤부근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부문 대표이사는 “미국 소비자가 인정하는 럭셔리 가전 브랜드를 확보함으로써 주택·부동산 시장에 본격 진입할 수 있게 됐다”면서 “유통 인프라 구축, 인력 확충 등 지속적인 투자를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북미에서 지난 2분기에 5대 생활가전 시장점유율 16.7%를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 미국 생활가전 시장은 연평균 4%씩 성장해 2020년 300억 달러(약 32조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이탈리아 자동차기업 피아트의 차부품 사업부문인 마그네티마렐리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활발한 M&A 활동을 벌이고 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8-1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