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쇼크’ 전세계 증시서 하루 2440조원 증발

‘브렉시트 쇼크’ 전세계 증시서 하루 2440조원 증발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6-25 13:40
업데이트 2016-06-25 1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유럽증시 급락…무디스, 영국 신용등급전망 ‘부정적’ 하향

이미지 확대
뉴욕증시, 브렉시트 충격에 3.39% 하락
뉴욕증시, 브렉시트 충격에 3.39% 하락 뉴욕증시가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충격을 받으면서 24일(현지시간)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9% 떨어졌다. 사진은 다우존스 지수가 611.21포인트 하락한 17,399.86에 거래를 마쳤음을 보여주고 있는 뉴욕증권거래소 전광판의 모습. 사진=AP 연합뉴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가 현실화되면서 유럽은 물론 지구 반대편 금융시장까지 큰 충격에 휩싸였다.

유럽과 미국,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급락하면서 24일 하루에만 전 세계 주식시장의 시가총액 2조 800억 달러(약 2440조원)가 증발했다.

국제신용평가사는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이후의 행보를 우려하며 영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

이날 미국 뉴욕증시는 일제히 3∼4%의 급락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3.39% 떨어진 17,399.86으로 마감됐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3.60% 내린 2,037.30, 나스닥 종합지수는 4.12% 하락한 4,707.98로 마쳤다.

다우지수와 S&P 지수가 이처럼 떨어진 것은 지난해 8월 중국발 금융시장 요동이 찾아온 이래 약 1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유럽 주요국 증시도 직격탄을 맞았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지수는 전날보다 무려 8.04% 폭락한 4,106.73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DAX 지수는 6.82% 떨어진 9,557.16, 범유럽지수인 유로 Stoxx는 8.62% 떨어진 2,776.09로 마감했다.

브렉시트 진앙지인 영국의 경우 ‘셀 브리튼’(영국 증시 이탈) 현상으로 주가가 폭락하다가 가까스로 낙폭을 줄였다.

FTSE 250지수는 장 초반 11.4%까지 추락해 사상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고, FTSE 100 지수도 9% 가까이 빠지다가 마감 시점에는 3.15% 떨어진 6,138.69로 마무리했다.

브렉시트 결정 직후 일제히 급락한 아시아 증시까지 포함해 S&P의 글로벌 브로드마켓 지수(BMI) 기준으로 24일 하루 전 세계 증시 시가총액 2조800억 달러가 한꺼번에 사라졌다.

상품 가격도 요동쳤다.

안전자산인 금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금값은 4.4% 상승했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24일 현물 금 가격은 온스당 1천316.7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에 국제유가는 모두 내림세를 보였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날보다 4.93% 떨어진 배럴당 47.6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북해 브렌트유 8월 인도분 가격도 전날보다 4.91% 내린 배럴당 48.41달러를 보였다.

국제유가는 전날까지만 하더라도 세계 경제에 대한 낙관 속에 배럴당 50달러를 넘겼지만, 브렉시트가 현실화하면서 급락세로 돌아섰다.

한편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브렉시트가 영국 경제 전망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영국의 국가신용등급은 기존의 ‘Aa1’을 그대로 유지했다.

무디스는 “앞으로 수년간 영국은 EU와 교역관계를 재협상해야 하는데 이 과정이 불확실성을 높이고 신뢰도를 낮추며 지출과 투자를 줄인다”고 설명했다.

또 “장기적으로 영국이 EU나 다른 국가와의 교역 협상에서 유리한 내용을 지켜내지 못한다면 영국의 성장 전망은 현재보다 더 나빠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