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다미아니 부사장 “한국 개소세 내린 만큼 값 인하”
이탈리아 보석 브랜드인 다미아니가 한국의 개별소비세(개소세) 인하 정책에 맞춰 세금 인하분만큼 제품 가격을 내리기로 했다는 최근 발표는 럭셔리 시장에서 이색 시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올해 들어 우리 정부가 보석류에 대한 개소세 인하를 단행했지만 티파니, 불가리, 태그호이어와 같은 럭셔리 브랜드들은 유로화 상승 등을 이유로 제품값 인상을 채비하던 터였기 때문이다. 다미아니 역시 이런 분위기를 분명하게 알고 있었다. 새 가격정책을 설명하기 위해 방한한 조르조 그라시 다미아니(45) 부사장은 지난 9일 서울신문과 단독으로 만난 자리에서 “개소세 인하에 따른 가격정책 변화는 우리가 최초이며 시장과 차별화된 결정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다미아니코리아 제공
다미아니의 하이엔드 주얼리인 ‘앱솔루트 컬렉션’(왼쪽). 중앙의 사파이어와 다이아몬드가 조화를 이룬 디자인으로 가격은 7874만원. 가운데 사진 위쪽은 ‘퀸링’이고 가격은 다이아몬드 크기에 따라 300만원부터 억대까지. 가운데 아래는 ‘밴드링’. 밴드링의 맨 아래 디사이드링은 배우 브래드 피트와의 협업을 통해 제작됐다. 오른쪽은 다미아니의 대표 디자인을 채용한 하이엔드 주얼리 ‘벨에포크 컬렉션’. 가격은 929만원.
다미아니코리아 제공
다미아니코리아 제공
여기에 다미아니는 ‘10C 다이아몬드 프로그램’이라는 서비스 정책을 함께 발표했다.
그동안 ▲캐럿(Carat) ▲커팅(Cut) ▲빛깔(Color) ▲투명도(Clarity)의 앞글자를 딴 4C가 다이아몬드 가치를 결정한 데 더해 ▲장인정신(Craftsmanship) ▲주문 제작(Custom Made) ▲인증(Certificate) ▲구입 제품의 업그레이드 시스템(Change Option Guarantee) ▲보험(Coverage) ▲기업정신(Company) 등의 가치를 덧붙이겠다는 선언이다.

다미아니코리아 제공
다미아니 그룹의 조르조 그라시 다미아니 부사장이 지난 9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모스스튜디오에서 “한국의 개별소비세 조정에 따라 제품 가격을 인하한다”고 발표하고 있다.
다미아니코리아 제공
다미아니코리아 제공
이름이 암시하듯 다미아니 부사장은 3대째 가족경영 체제를 이어온 다미아니가의 일원이다. 1924년 이탈리아 발렌자에서 출발한 다미아니 창업자의 손자인 그는 3남매 중 막내로 회사에서 원자재 매입과 상품 개발을 총괄하는 역을 맡았다. 누나 실비아는 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고 장남인 귀도는 최고경영자(CEO)이다.
1990년대부터 경영을 주관한 3세들은 북미, 아시아 등지로 진출해 브래드 피트, 샤론 스톤, 밀라 요보비치 등 할리우드 스타들과의 협업을 추진하며 사업을 확장하다 2007년 이탈리아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공개했다. 다미아니 부사장은 “저희 가문과 스타들이 조우할 기회가 많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협업 관계를 형성하게 될 때가 많다”고 설명했다.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이탈리아 기업 중 70% 이상이 가족경영 형태로 운영된다. 가족경영 기업들은 이탈리아 국내총생산(GDP)의 80%, 고용의 75%를 떠받친다.
가족경영 기업의 특징을 묻자 다미아니 부사장은 “어릴 적부터 가문과 기업의 가치를 체득하며 자라기 때문에 가치에 기반한 경영을 할 수 있다”면서 “단 다미아니 가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경영을 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며 끊임없는 단련을 통해 스스로의 자질을 키워야 한다”고 밝혔다. 다미아니 부사장 또한 1990년 고교 졸업 직후 다미아니에 합류해 다양한 경험을 쌓던 중 원자재 구매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 국제유통매니저 등을 거쳐 부사장이 됐다.
중국의 반부패 캠페인과 저유가에 따른 중동 시장 경기침체로 인해 성장이 정체된 럭셔리 시장의 위기를 타개할 열쇠 역시 가문의 축적된 힘에서 나온다고 다미아니 부사장은 강조했다.
그는 “테일러시스템에 따른 생산이 아니라 여전히 ‘다미아니 스쿨’을 졸업한 장인들이 책임지고 제조하는 생산 체계, 전 세계 어느 지역에서든 고객을 최우선으로 한다는 오래된 가치를 유지했기에 ‘10C 다이아몬드 프로그램’이 가능했다”면서 “오늘 혁신의 시작은 1924년 할아버지가 이미 준비해 둔 일”이라고 말했다. ‘과시적 소비’ 단계에서 럭셔리 업체들이 오랜 전통과 제품에 대한 소신을 부각시켰다면, ‘자족적 소비’가 존중받는 지금의 럭셔리 업체들은 고객별로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자질을 부각시키고 있는 셈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3-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