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엔 왜 삼성전자 같은 글로벌 금융사가 없는 걸까요. 우리 금융산업이 오랫동안 고민하는 과제입니다. 최근 사석에서 만난 한 시중은행 부행장은 이를 두고 ‘금융사 최고경영자(CEO)의 짧은 임기’가 원인이라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설명을 듣고 나면 일견 수긍이 갑니다. 국내 금융사 CEO들은 연임하는 사례가 드물고, 그마저도 여러 가지 이유로 임기를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죠. CEO가 바뀌면 기존 정책을 뒤엎고 전임자 색깔 지우기 작업이 벌어집니다. 100년 대계를 위한 주춧돌을 쌓기보단 임기 내 실적에만 연연하다 조직 전체가 뒷걸음질 치게 만들던 모습을 숱하게 목격했습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런 척박한 토양 속에서 윤종규 KB금융 회장이 색다른 행보를 보여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윤 회장은 최근 ‘KB락스타’ 부활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KB락스타는 어윤대 전 KB금융 회장의 야심작이었죠. 20대 대학생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특화 점포인데 한때 전국에 41개까지 운영됐습니다. 일찌감치 젊은 고객을 유치해 평생 고객화하겠다는 것이 목적이었죠. 취지는 좋지만 당장 수익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이유로 KB락스타는 2013년 6월 임영록 전 회장이 취임한 직후부터 사실상 축소·폐지의 길을 걷게 됩니다. 지난해 초에는 규모가 26개까지 줄어들고 출장소로 지위가 격하됐죠.
그런 락스타를 다시 살려 보자고 윤 회장이 팔소매를 걷어붙였습니다. “전임자의 작품이더라도 은행에 도움이 되는 제도라면 적극 수용하는 게 맞다”는 게 그의 생각이죠. 실제 시중은행에서 내놓은 20대 고객 특화 브랜드 중 국민은행 락스타의 인지도(65.9%)는 신한은행의 ‘S20’(42.3%), 외환은행의 ‘윙고’(11.2%)에 비해 앞도적으로 높습니다. 이 소중한 자산을 은행 경쟁력에 보태 보겠다는 겁니다.
새로 재정비하게 될 KB락스타는 온·오프라인이 결합된 금융·문화 복합 공간으로 연내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조직을 위해 쉽지 않은 선택을 한 윤 회장의 도전이 주목됩니다. 금융산업의 뿌리 깊은 폐습에도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올지 지켜볼 일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7-3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