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금 너무 비싸네’…서울은 도시근로자 가구 6년치 소득

‘전세금 너무 비싸네’…서울은 도시근로자 가구 6년치 소득

입력 2015-02-15 10:19
수정 2015-02-15 1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파트 전세금 수도권은 4.3년치, 전국은 3.4년치 소득

서울 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금이 도시 근로자 가구의 6년치 소득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는 안정돼 있지만 전세가는 빠르게 오르면서 직장인들에게 전세금 마련은 갈수록 부담스러운 일이 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전세금도 도시근로자 가구의 4.3년치, 전국은 3.4년치의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꼬박 모아야 마련할 수 있을 정도로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부동산114는 작년 12월 말 현재 전국 아파트의 전세 시세와 통계청의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2인 이상 기준) 소득을 비교한 결과, 이처럼 분석됐다고 15일 밝혔다.

서울은 작년말 평균 전세가격이 3억3천849만원으로,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의 연간 소득(5천682만원)의 5.96배에 달했다.

도시근로자 소득 대비 서울 시내 아파트의 전세가 배율(PIR)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에는 4.12배에 그쳤으나 2011년 5.28배까지 상승하다가 2012년 5.15배로 다소 완화된 뒤 2013년(5.66배)부터 다시 급등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부동산114가 시세자료를 보유한 기간인 최근 11년(2004∼2014년) 사이의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 중 지난해가 가장 높았다.

이는 전세금 상승폭이 소득 증가세보다 컸기 때문이다.

부동산114의 시세자료를 기준으로 볼 때 작년말 현재 서울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는 1년 전(3억1천265만원)보다 8.3%(2천584만원)나 올랐고 2년전(2억7천767만원)보다는 21.9%(6천82만원) 상승했다.

전세 계약 기간이 2년인 점에 비춰볼 때 작년말에 월세로 전환하지 않고 전세를 유지하려 한 가구는 평균 6천만원 가량의 자금이 필요했던 셈이다.

전세보다 월세가 늘어나는 이유도 저금리 탓에 전세금을 마땅히 굴릴 데가 없는 집주인들이 월세 전환을 희망한 때문이기도 하지만 세입자 역시 늘어난 전세금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았던 탓도 있다.

2004년 말(1억5천432만원)의 전세가는 현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다.

다른 지역의 전세금 추이도 비슷해 지난해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은 수도권과 전국 모두 최근 11년 사이에 최고 수준이었다.

수도권은 4.30배, 전국은 3.43배다.

수요가 많은 공급 면적 99∼132㎡미만(30평형대) 크기 아파트는 서울이 6.16배, 수도권이 4.60배, 전국이 3.82배였다.

이처럼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이 높은 것은 기본적으로 전세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실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2013년에 이어 2014년에도 집값 상승률은 낮았지만 전세가는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작년말 국민은행의 주택매매가격 지수를 보면 전국의 집값은 1년 전보다 2.1% 오르고 서울은 0.8% 상승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전세가격지수는 전국이 3.8% 오르고 서울은 4.3%나 상승했다.

올해 들어서도 매매가 상승률은 기고 전세가는 뛰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