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수요시 예비력 872만㎾ 확보
최근 한파에 따른 난방수요로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정부는 일단 신규 발전기 준공 등으로 올겨울 전력수급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대신 이상 한파나 대형 발전기의 정지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비상계획을 마련하는 한편 문을 열고 난방 영업을 하는 등의 에너지 낭비 행위는 규제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세종청사에서 열린 제61회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겨울철 전력수급 전망 및 대책을 보고·확정했다.
우선 올겨울은 한파와 경제성장에 따른 기본적인 전력수요 증가 등을 고려해 최대전력수요가 지난 겨울의 최고치보다 420만㎾ 늘어난 8천150만㎾로 전망됐다.
지난 겨울의 최대 전력수요는 올 2월5일에 기록한 7천730만㎾였다.
최근 며칠 새 한파가 몰아치면서 17일엔 최대전력수요가 8천15만㎾에 달해 8천만㎾ 선을 넘어서기도 했다.
하지만 새 발전기 준공과 복합화력 출력증가 등으로 공급능력이 늘어나면서 최대수요 시에도 872만㎾의 예비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이번 겨울엔 최대전력공급량이 지난 겨울보다 689만㎾ 늘어난 9천22만㎾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상 한파나 대형발전기 정지 등에 대비한 비상계획으로 내년 초 준공예정인 발전기의 시험 운전 출력을 활용해 148만㎾의 공급능력을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장기 가동했거나 고장 빈도가 높은 발전소와 대형 발전소의 송전선로에 대한 특별 점검도 실시한다.
수요 감축을 위해서는 지난 11월 개설된 수요자원 거래시장에 등록된 용량 149만㎾를 활용해 시장의 자발적인 전력수요 감축을 유도하기로 했다.
수급불안 요인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주간예고, 전압 하향 조정, 긴급 절전 등 480만㎾ 규모의 비상단계별 대책도 마련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민간 부문에 대한 강제 절전이나 온도 규제는 하지 않는 대신 상가 등에서 문을 열고 난방 영업을 하는 사례 등 에너지 낭비사례에 대해서는 규제를 지속하기로 했다.
정부는 문을 열고 난방영업을 하는 행위에 대해 22∼28일 계도기간을 거쳐 29일부터 최대 300만원(4회 이상 적발)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부는 에너지관리공단, 지방자치단체 등과 합동으로 올겨울 5차례에 걸쳐 전국 15개 지역에서 에너지 낭비사례에 대한 단속에 나설 방침이다.
공공부문은 실내 난방온도 18도 이하 유지를 원칙으로 하고 비전기식 난방설비가 60% 이상인 기관은 20도 이하로 완화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에너지 낭비사례는 지속적으로 근절하되 난방온도의 자율준수 권고 등을 통해 국민불편은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