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에도 금융위기 때보다는 낮아

서울 아파트값 상승에도 금융위기 때보다는 낮아

입력 2014-09-07 00:00
수정 2014-09-08 07: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5개구중 16개구 시세 2008년말 밑돌아소형과 중대형도 희비 엇갈려

최근 부동산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서울시내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시세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8월말 현재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3.3㎡당 1천627만원으로 2008년 말 1천731만원 대비 104만원(6%) 낮았다.

구 별로는 용산구가 2008년 말 3.3㎡당 2천557만원에서 8월 말 현재 2천211만원으로 346만원 하락해 가장 많이 떨어졌다.

이어 강남구가 3.3㎡당 228만원, 강서구가 170만원, 양천구가 165만원, 노원구 154만원, 도봉구 141만원, 영등포 133만원이 각각 하락했다.

반면 서초·은평·중·성동·서대문·마포구 등 6개구는 2008년 말에 비해 매매 평균가격이 상승했다.

서초구가 2008년 말 3.3㎡당 2천491만원에서 2천643만원으로 152만원 올랐고, 은평구는 1천77만원에서 1천96만원으로 119만원 상승했다.

서초구는 반포·서초동 일대 재건축이 진행되면서 매매가격이 올랐고, 은평구는 은평뉴타운 등 새 아파트 입주 등으로 가격이 상승세를 보였다.

주택형별로는 소형주택과 중대형 주택간의 희비가 엇갈렸다.

전용 60㎡ 이하 아파트의 경우 2008년 말 3.3㎡당 1천440만원에서 올해 8월에는 1천462만원으로 22만원 상승하며 2008년 말 시세를 넘어섰다.

이에 비해 전용 60∼85㎡ 이하는 2008년 말 1천561만원에서 8월 말 현재 1천510만원으로 약간 못미쳤고, 전용 85㎡ 초과는 2천147만원에서 1천890만원으로 하락해 2008년 말 시세의 88%에 그쳤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