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안 거치고 환전 수수료↓ 中 주식·채권 투자도 쉬워져

달러 안 거치고 환전 수수료↓ 中 주식·채권 투자도 쉬워져

입력 2014-07-04 00:00
업데이트 2014-07-04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위안화 직거래 달라지는 것

한·중 정상이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에 합의하면서 그 효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큰 이득이 생길 것처럼 강조하지만 다분히 기대 섞인 바람이다. 물론 좋은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당장 중국 여행 때 개인들은 원화를 위안화로 곧바로 환전할 수 있어 비용 면에서 이득이다. 지금도 은행에 가면 위안화를 곧바로 내주지만 실상은 은행이 고객에게 원화를 받아 미국 달러화로 바꾼 뒤 다시 위안화로 내주는 형태다. 이중 환전이 직거래로 바뀌어 수수료가 5% 포인트 낮아진다고 가정하면 100만원을 위안화로 바꿀 때 5만원을 아낄 수 있다.


중국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것도 쉬워진다. 중국은 직거래를 트면서 우리나라에 800억 위안(약 13조 450억원)의 투자 한도를 줬다. 중국은 나라마다 자국 금융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자격(RQFII)과 한도를 부여한다. 심사를 거쳐 선발된 국내 금융사들은 투자 한도를 쪼개 받은 뒤 투자자를 모집하게 된다. 대부분 기관투자가가 되겠지만 개인들도 참여할 수 있다.

기업들은 무역 거래 때 달러를 굳이 위안화로 바꿔 결제하지 않기 때문에 이중 환전 수수료 절감 등의 혜택은 별로 없다. 다만 거래 상대방이 위안화 결제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환전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런 거래를 중개할 자체 청산은행(중국계 은행 지정 예정)도 두게 돼 결제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 지금은 홍콩을 거쳐 결제가 이뤄진다. 결제 수단을 달러화와 위안화로 다변화하면 환 위험 분산 효과가 있지만 두 통화의 환 리스크에 대비해야 하는 부담도 동시에 지게 된다. 금융사들은 최근 급증세인 위안화 예금과 한·중 통화 맞교환(스와프) 자금 등을 활용해 자산운용의 새로운 기회도 엿볼 수 있다.

이런 장점들이 시장 활성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중국과의 무역 결제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2.3%(수출 1.6%, 수입 0.7%)에 불과하다. 일본에도 엔·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지난해 생겼지만 거래 규모는 10억~12억 달러 수준이다. 1996년 개설된 원·엔 직거래 시장이 넉 달 만에 문을 닫은 것 또한 ‘수요 부족’에 따른 것이었다. 2년 전쯤 중국의 선(先)제안을 받고도 우리 정부가 직거래 시장 개설에 뭉그적댔던 것도 수요를 자신할 수 없어서였다.

유상대 한은 국제국장은 “당장 위안화 수요가 크지 않지만 직거래 시장이 없어서 그런 건지, 수요 자체가 적은 건지는 좀 더 따져 봐야 한다”면서 “두 나라 교역 규모(2300억 달러)나 중국인 관광객 수(433만명) 등을 볼 때 잠재 수요는 충분한 만큼 실질 수요로 유도하는 정책적 노력이 가미되면 활성화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원·엔 직거래 시장이 실패했던 것도 “우리나라가 대일(對日) 무역적자국이어서 만성적인 엔화 부족 상태였기 때문”이라며 “중국은 우리가 600억 달러 이상의 흑자국인 만큼 원·엔 시장과는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직거래 시장은 우리나라에서 먼저 연 뒤 순차적으로 중국에서도 시작할 예정이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7-04 15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