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김장비용 지난해보다 덜 든다”

“올해 김장비용 지난해보다 덜 든다”

입력 2013-10-13 00:00
수정 2013-10-13 1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마트, 4인 가족 ‘김장 물가’ 분석

올해 김장비용은 지난해보다 30% 가까이 덜 들 것으로 예측됐다.

13일 이마트가 김장 시작 주인 다음 달 첫 째주를 기준으로 추정한 김장비용은 4인 가족당 20만∼22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21.3∼28.9%가량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품목별로는 배추는 지난해 이마트 판매가는 5만9천600원인 반면 올해 김장철에는 절반 수준인 3만∼4만원에 불과할 전망이다.

무 가격도 10개 기준 지난해 2만1천800원이었지만 올해는 70% 가까이 떨어진 1만3천∼1만5천원에 머물고, 고춧가루 역시 1.8㎏ 한 봉 값이 지난해 7만4천700원에서 올해는 5만6천원 안팎으로 30% 넘게 내릴 것으로 분석됐다.

마트 측은 전체 김장비용의 60% 넘는 비중을 차지하는 배추와 무 등 채소가 태풍 피해를 입지않고 작황이 좋아 비용절약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농수산유통공사에 따르면 가락시장에서 이달 들어 특등급 배추 10㎏들이 한 망의 평균 도매가는 6천892원으로 지난해 같은달 전체 평균보다 34.0% 하락했다.

무도 18㎏들이 특등급 한 상자 도매가가 평균 1만2천156원으로 지난해보다 39.2%나 값이 내려갔다.

깐마늘과 건고추 값도 지난해보다 각각 27.8%, 32.0% 가격이 내렸다.

김장철 마지막까지 가격이 오르락내리락하는 마늘과 고추 가격의 경우 마늘 산지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저장마늘 보유량이 지난해보다 크게 늘었고 건고추 수확량은 지난해보다 7%가량 증가해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해졌다.

김장의 주요 부재료인 굴 등 수산물 가격은 일본 원전 사태 파문으로 전체적인 소비가 위축, 지난해보다 15∼20% 낮은 수준에서 시세가 형성됐다.

이종훈 이마트 마케팅팀장은 “올해는 태풍 피해 등이 적어 김장채소 가격이 지난해보다 20∼30%가량 쌀 것”이라며 “직접 김장을 담고자 하는 고객의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인 만큼 알뜰한 김장이 되도록 충분한 물량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강석주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 어린이 박람회’ 대회장으로 개막식 참석

서울시의회 강석주 의원(국민의힘·강서2)은 지난 7일 서울 마곡 코엑스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어린이박람회’ 개막식에 대회장 자격으로 참석해 “어린이가 행복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 곧 지속가능한 서울의 미래를 세우는 일”이라며 축하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번 박람회는 ‘어린이가 행복한 대한민국 만들기’를 주제로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개최했다. SBS와 한국어린이문화원이 공동 주최하고, 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문화체육관광부·고용노동부·성평등가족부·국방부·농림축산식품부·산림청·소방청·서울시 등 여러 기관이 함께 참여해 어린이의 신체·정서·사회성 발달을 지원하는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과 전시를 선보였다. 강 의원은 “서울시의회는 아이들이 차별 없이 배우고, 안전하게 생활하며, 꿈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정책적 뒷받침을 이어가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아이와 가족이 행복한 서울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또한 강 의원은 “이번 박람회가 어린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확산하고, 가족친화적이고 양성평등한 도시 환경을 만드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현장 관계자 및 참여 기관에 감사를 전했다
thumbnail - 강석주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 어린이 박람회’ 대회장으로 개막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