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값 추락에 ‘투자 실패론’ 부각
한국의 국가 금 보유량이 세계 34위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8일 세계금위원회(WGC)의 국별 금 보유량 통계(중앙은행 보유 기준)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금 보유량은 104.4t으로 조사 대상 100개국 가운데 34위를 차지했다.
한국은행은 김중수 총재 취임 이후 적극적으로 금 매입에 나서 2011년 13년 만에 처음으로 금 40t을 사들인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30t, 올해 20t을 추가 매입했다.
이에 따라 지난 6월 기준 외환보유액 3천264억4천만달러 중 1.5%(장부가액 기준)를 금이 차지했다.
이로써 한국의 금 보유량 순위는 2011년 7월 56위에서 지난해 7월 43위로 뛰어올랐고 이달에는 34위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한국의 금 보유량은 그리스(112.0t), 루마니아(103.7t), 폴란드(102.9t) 등과 비슷하다. 외환보유액 대비 금 보유 비중이 비슷한 나라로는 중국(1.3%), 카타르(1.4%), 콜롬비아(1.2%) 등이 있다.
국가·국제기구별 공식 금 보유량은 미국이 8천133.5t으로 가장 많다. 독일 3천391.3t, 국제통화기금(IMF) 2천814.0t, 이탈리아 2천451.8t, 프랑스 2천435.4t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은행은 몇 년 전까지도 금 보유량이 적어 외환보유의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았으나 김중수 총재 취임 이후 금 보유량을 104.4t까지 늘리자마자 금값이 폭락, 투자 실패론이 불거져 나왔다.
금값은 지난해 말 온스당 1천714.8달러까지 치솟았다가 최근 1천200달러대로 추락했다. 올해 2분기에만 23%가량 폭락했으며 이는 1975년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이와 관련, 한은은 금 매입이 외화보유액의 통화·상품 다변화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진행하는 것인 만큼 가격 변동에 따른 단기 손익 평가는 큰 의미가 없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humbnail - ‘한국인 남성과 결혼’ 日여성 “정말 추천”…‘이 모습’에 푹 빠졌다는데 [이런 日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07/SSC_20251107182512_N2.jpg.webp)
![thumbnail - “상공 60m 급강하 앞두고 안전벨트 풀려”…롤러코스터 공포의 순간 찍혔다 [포착]](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08/SSC_20251108113045_N2.jpg.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