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소포·택배 1천200만개 예상…우체국 비상체제

설 소포·택배 1천200만개 예상…우체국 비상체제

입력 2013-01-27 00:00
수정 2013-01-27 1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식경제부 우정사업본부는 오는 28일부터 2월9일까지 13일간을 ‘설 우편물 특별소통기간’으로 정하고, 우편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비상근무에 돌입한다고 27일 밝혔다.

우본은 “올 설은 연휴가 짧아 선물로 설 인사를 대신하는 사람이 늘 것”이라며 “이 기간 소포·택배 우편물은 작년 설보다 1.7% 많은 1천200만개, 하루 평균 접수물량은 평소(67만개)보다 79% 많은 120만개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본은 ‘특별소통 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전국 9개 지방우정청과 우체국 및 집중국 등 270개 관서에 ‘설 우편물 특별소통 대책반’을 가동한다.

우체국에서는 지원부서 등 기존 4만4천여명의 직원 외에 2천100여명의 보조 인력을 현장에 추가 투입한다. 차량 등 우편 관련 시설과 장비도 보강한다.

문의전화가 늘어날 것에도 대비해 우편고객만족센터(☎1588-1300) 인력을 20% 증원하고 근무시간을 연장하기로 했다.

우편 이용자들이 주의할 점도 있다. 부패하기 쉬운 어패류와 육류 등을 담은 우편물은 반드시 아이스팩을 넣어야 하고, 파손되기 쉬운 물건은 스티로폼·에어패드 등 완충재를 충분히 넣어 포장을 견고히 해야 한다.

또 받는 사람의 주소와 우편번호를 정확히 기재해야 우편물을 제때 전달할 수 있다. 우본 관계자는 “귀성과 연휴로 집과 사무실 등을 비우는 경우가 많으므로 받는 사람의 연락 가능한 휴대 전화번호를 적어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